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상담자의 자기돌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도정신치료 기반 오픈스튜디오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f School Counselors’ Self-Care-Oriented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 A Tao Psychotherapy-Based Open Studio Approach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김은희 최선남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4호, 935~95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1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의 자기돌봄을 위한 도정신치료 기반 오픈스튜디오 집단미술치료의 경험과 그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는 학교 전문상담교사 5명으로 회기는 4일간, 12회기(32시간) 마라톤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장소는 A지역 교육연구정보원 세미나실이며, 집단촉진자는 미술치료 전문가 자격을 소지한 미술치료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7월부터 9월까지로 연구자의 집단미술치료 참여 관찰을 통한 회기 및 개별 심층 면담의 축어록, 경험보고서, 미술작품, 활동사진, 연구 노트 및 반응작업을 연구자료로 수집하였으며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체험의 본질적 주제 4개는 ‘학교상담자는 자기돌봄의 초대에 응하다’, ‘오픈스튜디오에서 열린 나를 만나다’, ‘자유자재로 이미지의 변형이 일어나다’, ‘집단미술치료는 관계를 담는 그릇이 되다’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의미의 본질적 주제 4개는 ‘현존은 자기돌봄의 시작이다’, ‘미술과의 노작은 봄(春)이다’, ‘학생과의 만남에 진정성을 더하다’, ‘동료의 깊은 공감은 치유의 여정이었다’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의 정신건강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미술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and essential meanings of Tao psychotherapy-based open studio group art therapy for the self-care of school counselors. Five school counselors participated in 12 therapy sessions (32 hours total) in a marathon format over four days at the seminar room of the Region A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Center. A certified art therapist facilitated all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er’s observation during group art therapy sessions from July to September 2023. This Included session transcript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s’ experience reports, artworks, activity photographs, and the researcher’s field notes along with reflective response works. The study adopted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re were four core experiential themes emerged: (1) School counselors responded to the invitation of their self-care; (2) Encountering the open self in the open studio; (3) Fluid transformation of images occurred; (4) The group art therapy became a vessel to contain relationships. Four essential themes of meaning were identified: (1) Presence was the beginning of self-care; (2) Creative engagement with art was spring (renewal); (3) Deepening authenticity in interactions with students; (4) Deep empathy for colleagues as a healing journey. This study provided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art therapy interventions that could offer practical mental health support for school counsel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희,최선남. (2025).학교상담자의 자기돌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도정신치료 기반 오픈스튜디오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32 (4), 935-958

MLA

김은희,최선남. "학교상담자의 자기돌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도정신치료 기반 오픈스튜디오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32.4(2025): 935-9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