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三綱行實圖』의 유교 윤리적 의미와 현대사회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Meaning of Confucian Ethics and Modern Society through Samgang Haengsildo (三綱行實圖)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성지은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36권, 265~29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는 군신・부자・부부의 삼강에 모범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의 실제 사례를 정리한 조선의 대표적인 교화서이다. 당시 지식인들은 효(孝)를 근본적인 윤리 규범으로 제시하고, 이 효가 군주에 대한 충(忠)과 남편에 대한 열(烈)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그래서 『삼강행실도』의 간행을 명한 세종은 이 서적을 통해 백성들에게 윤리 규범을 제시하고, 충・효・열이라는 유교적 덕목을 일깨워주고자 하였다. 그 유교 윤리적 의미의 본질로 먼저 ‘효’에서 강조하는 것은 부모를 공경하고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다. 다음으로 ‘충’에서 강조하는 것은 임금과 신하 사이에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이다. 구체적으로는 신의・희생・충성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열’에서 강조하는 것은 절개를 지키고 남편을 위해 정성을 다하는 것이다. 이는 가정의 화목을 지키기 위한 부부 윤리로서 강조된 유교 윤리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교적 덕목은 현대사회에서 ➀도덕의 폭력, ➁자기 파괴적 행위, ➂수직 윤리라는 비판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여기서 ‘도덕의 폭력’이란 도덕을 강제하는 일종의 정신적 폭력을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다. ‘자기 파괴적 행위’란 도덕을 행하는 대상의 마음을 우위에 두는 것이 아니라 도덕을 행하는 자기중심의 개념이다. 이는 도덕적이라고 생각한 행위라 할지라도 그것이 상대를 만족시키는 행위가 아니라 단지 자기만족에서 비롯된 파괴적인 행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수직 윤리’란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일방적인 충성과 절대적인 희생을 요구하는 개념이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초기의 『삼강행실도』를 통하여 유교 윤리의 의미를 고찰하고, 온고지신(溫故知新)의 관점에서 그 현대적 적용 가능성과 현대사회에서 제기되는 비판점을 함께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Samgang Haengsildo (三綱行實圖) is a representative educational book of Joseon that summarizes actual cases of loyal subject (忠臣), filial son (孝子), and faithful woman (烈女) who can serve as examples for the Samgang (三綱) of monarch and subject (君臣), father and son (父子), and husband and wife (夫婦). At the time, intellectuals presented ‘filial duty (孝)’ as a fundamental ethical norm, and saw this ‘filial duty’ lead to ‘loyalty (忠)’ for the monarch and ‘fidelity (烈)’ for the husband. King Sejong the Great, who first ordered the publication of Samgang Haengsildo, also tried to present ethical norms to the people and remind them of the Confucian virtues of loyalty, filial duty, and fidelity through this book. As the essence of its Confucian ethical meaning, the first thing to emphasize in ‘filial duty’ is the feeling of respecting and cherishing parents. Next, the emphasis in ‘loyalty’ is on maintaining an honest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his subjects. Specifically, it means faith, devotion and loyalty. Lastly, what is emphasized in ‘fidelity’ is upholding integrity and showing utmost devotion to one’s husband. This is also a Confucian ethics emphasized as a marital ethics to protect the harmony of the family. However, such Confucian virtues have also been critically evaluated as ‘Moral violence’, ‘Act of self-destruction’, and ‘Vertical ethics’ in modern society. Moral violence is a concept that contains a kind of mental violence that enforces morality. The term ‘Act of self-destruction’ refers to a concept centered not on prioritizing the mind of the moral subject but rather on a self-centered approach to morality. This means that, even if an action is considered moral, it is merely an act of self-satisfaction rather than one that genuinely fulfills the needs of others. Lastly, the term ‘Vertical ethics’ refers to a concept in which superiors demand unilateral loyalty and absolute sacrifice from inferior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uncover new insights by re-examining the Samgang Haengsildo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through a modern perspective.

목차

1. 들어가는 말
2.『三綱行實圖』의 유교 윤리적 의미
3.『三綱行實圖』에 대한 현대사회의 비판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지은. (2025).『三綱行實圖』의 유교 윤리적 의미와 현대사회. 퇴계학논집, (), 265-296

MLA

성지은. "『三綱行實圖』의 유교 윤리적 의미와 현대사회." 퇴계학논집, (2025): 265-2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