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퇴계 이황의 1666년 퇴계학파 3인의 상소문과 그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Appeals of Three Toegye School Scholars in 1666 and Their Impact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저자명
- 정명수
- 간행물 정보
- 『퇴계학논집』제36권, 31~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666년 류세철의 상소’(이하 ‘류세철의 상소’)를 배경으로 한다. 졸재 류원지와 목재 홍여하, 그리고 갈암 이현일은 「의례소」를 대작(代作)하였다. 기해년에 시행된 복제의 개정을 목적으로 소문을 지은 것이다. 그런데 그들은 나이는 물론 학문적·사회적 경험치가 달랐다. 목적은 같았지만, 주장의 방식과 내용이 다를 수밖에 없던 것이다. 이에 세 편 「의례소」의 ‘같음과 다름[同異]’를 살펴보려 한다. 아울러 ‘류세철의 상소’ 이후 3인이 퇴계학파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도 살필 것이다. ‘류세철의 상소’가 개인은 물론 학파의 변화에 어떻게 기능했는지를 살피겠다는 말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다음의 세 조항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는「의례소」의 ‘같음과 다름’이다. 특히 다름은 졸재가 ‘임금이 당한 치욕’을, 목재가 권형·승묵 등을, 갈암이 ‘공론’을 기준으로 제시한 것에서 두드러진다. 또한 졸재와 목재가 국가부동(國家不同)을 주장했지만, 여전히 친친(親親)의 영역에 머물러 있었던 것과 달리 갈암은 존존(尊尊)을 우위에 두었다.
두 번째는 ‘류세철의 상소’ 이후 변화의 다름이다. 졸재는 율곡의 학문 비판으로 태세를 전환했고, 목재는 ‘류세철의 상소’를 알지 못했던 것처럼 역사 연구에만 골몰했으며, 갈암은 제왕학을 정립하는 한편 율곡과 퇴계의 학문을 비판과 옹호로 도식화시켜 퇴계학파의 시대정신으로 만들었다. 세 번째는 퇴계학파에 끼친 영향으로 여기서는 갈암 만이 두드러진다. 환국의 시대를 맞이해 퇴계학파는 정치적 열세에 놓였고, 이때 제출한 제왕학(帝王學)과 리발(理發)의 적극적 옹호, 그리고 서인이 대한 강렬한 대응은 구심점이자 방어기제로 작용하였다. ‘퇴계학파의 중흥조’로 불릴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1666 Appeal by Ryu Se-che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vent”). During this time, Jeoljai Ryu Won-ji, Mokjae Hong Yeo-ha, and Galam Lee Hyeon-il jointly composed the “Uirye So” (Appeal on Rituals). This document was drafted with the purpose of revising the mourning rituals implemented in the Year of the Earth Pig (1666). However, these three scholars differed in age, academic, and social experiences. Although their objectives were aligned, the method and content of their arguments inevitably vari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同異) in the three versions of the “Uirye So.” Additionally, it will explore the influence these three scholars had on the Toegye School after the Event, analyzing how the Event functioned in bringing about changes not only for the individuals but also for the school of thought.
The research conducted with these objectives in mind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points. The first point i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同異)” in the “Uirye So.” The differences are particularly noticeable in how Jeoljai emphasized the “humiliation suffered by the King,” Mokjae focused on balance and standards, and Galam presented “public opinion” as the criterion. Additionally, while Jeoljai and Mokjae argued for the uniqueness of the state (國家不同), they still remained within the realm of familial duties (親親), whereas Galam prioritized respect for authority (尊尊).
The second point is the differences in changes after the Event. Jeoljai shifted his stance through criticism of Yulgok's scholarship, Mokjae immersed himself in historical research as if the Event had never occurred, and Galam established the study of kingship while systematizing the criticism and defense of Yulgok and Toegye's teachings, making them the zeitgeist of the Toegye School.
The third point concerns the impact on the Toegye School, with Galam being particularly prominent. During the political turmoil of the Hwan-guk period, the Toegye School found itself at a political disadvantage, and Galam's submission of the Study of Kingship and his strong defense of Li and his intense response to the Westerners acted as a focal point and a defensive mechanism. This is the reason he could be called the “Reviver of the Toegye School.”
목차
1. 서론
2. 3인 「의례소」의 배경 및 류세철 「의례소」의 한계
3. 3인 「의례소」의 동의
4. 3인의 변화와 그 영향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국유사』의 체재에 나타난 성스러움의 구도화
- 퇴계 이황의 귀향과 서원부흥운동의 의미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선구적 모형의 관점에서-
- 퇴수재 이병곤의 도산 사숙과 학문적 특징
- 퇴계 이황의 1666년 퇴계학파 3인의 상소문과 그 영향
- 영남 유학 3人의 性理說에 나타난 退溪學과의 접점과 간극 -이현일·이상정·류치명의 理氣·四端·七情을 중심으로-
- 국권 상실기 전우(田愚)의 시대인식과 사상적 모색
- 송정 조용의 삶과 학문적 위상
- 절성(節性)ㆍ인성(忍性)ㆍ복성(復性)의 도덕관념 계승 관계 구명(究明)
- 이토 진사이의 주희 천지만물생성과 이선기후(理先氣後) 비판
-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의 장도화 구도
- 『三綱行實圖』의 유교 윤리적 의미와 현대사회
- ‘동양 사람들은 점(占) 보기를 좋아한다’는 사회심리학적 결론에 대한 검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