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퇴수재 이병곤의 도산 사숙과 학문적 특징
이용수 0
- 영문명
- Toesujae Lee Byeong-gon’s Private Admiration for Dosan and His Scholarly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저자명
- 정석태
- 간행물 정보
- 『퇴계학논집』제36권, 59~9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병곤은 밀양 퇴로 여주이씨 가학 계승자로서, 전래의 가학과 이황의 학문을 지표로 학문을 하였다. 영남지역 북인 남명학파의 일원으로서 고사들의 학문을 하던 밀양 퇴로 여주이씨는 그 선조들이 정구로 학맥을 전환한 것을 계기로, 정구를 따라 이황의 학문을 지표로 하여 고사들의 학문에 내재한 도교와 불교 등 이단적 요소의 제거에 힘을 쏟는 한편, ‘사변과 의론’이 중심이 된 이황의 공부 방법이 안고 있는 문제를 피한 채 ‘체험과 실천’을 중시한 조식의 공부 방법을 앞세우는 학문을 하였다. 그는 백부 이익구와 백종형 이병희를 이어서 이황, 곧 도산을 사숙하는 학문을 하여 이황에게서 정구에게로 전수된 ‘체험과 실천’ 위주의 주자학을 심성 수양의 측면에서 정제된 형태의 공부 방법을 개발해 공부하였다. 그는 유가 심성 수양 공부의 두 지표인 밀양 퇴로 여주이씨 가학 전래의 ‘심의 주재’와 이황의 ‘주정존심의 지경공부’를 정구의 『심경발휘』 ‘경이직내장’을 뽑아내 초록한 『작성요결』을 가지고 하나로 통합하여 일상의 실제 생활에서 성인 공자의 학덕[성덕]을 지향하는 학문을 하였다. 그 주요 내용을 이론적 논의 대신 『퇴수재일기』로 남겨 놓았는데, 그중 1931년 50세 이후의 일기인 ‘위사록’과 ‘위득록’을 통해 그의 만년 심성 수양 공부의 일단을 살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을 고려할 때, 그의 학문은 ‘이황→정구’로 전수된, 이황과 정구의 학문을 그 연원이자 토대로 한 조선 후기 영남지역 북인계 남인 주자학자의 학문으로 정의해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Lee Byung-gon(李炳鯤), a successor of the scholarly tradition(家學) of the Yeoju Yi clan in Toero, Miryang, studied in accordance with the inherited family scholarship and the academic principles of Lee Hwang(李滉). As a member of the Nammyung School(南冥學派) of the Buk-in(北人) faction in the Yeongnam region, the Yeoju Yi clan of Toero in Miryang traditionally pursued the learning of virtuous scholars(高士). However, following the precedent set by their ancestor who transitioned the scholarly lineage to Jung Gu(鄭逑), they began to adopt Lee Hwang’s academic framework as their guiding principle. While striving to eliminate the heterodox elements—such as Taoist and Buddhist influences—that had permeated the scholarly practices of old masters, Lee chose not to engage in Yi Hwang’s study method centered on "speculation and debate(思辨과 議論)." Instead, he prioritized the learning style of Jo Sik(曺植), which emphasized "personal experience and practice(體驗과 實踐)." Lee followed in the scholarly footsteps of his uncle Lee Ik-gu(李翊九) and his older cousin Lee Byung-hui(李炳憙), and engaged in the private study and emulation of Lee Hwang(Toesan, 陶山). He further developed a refined method of Neo-Confucian learning(朱子學) based on experience and practice, passed down from Lee Hwang to Jung Gu, particularly emphasizing self-cultivation of mind and nature(心性修養). Drawing on the two key tenets of Confucian mind-nature cultivation—the “master of the mind(心의 主宰)” from his family tradition and Yi Hwang’s “quietude and reverent effort(主靜存心의 持敬工夫)”—Lee synthesized these with Jung Gu’s interpretation of the Chapter on Rectitude from Reverence(敬以直內章) in the Exposition of the Heart Sutra(心經發揮). Using this synthesis, he composed the “Essential Guide to Becoming a Sage(作聖要訣)”, which unified these ideas into a practical system of learning aimed at embodying moral virtues(學德) and sagehood(聖德) of Confucius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relying on abstract theoretical discussions, Lee recorded the core of his teachings in the “Toesujae Diary(退修齋日記),” particularly in the sections written after he turned 50 in 1931, titled “Wisa-rok(爲思錄)” and “Wideuk-rok(爲得錄).” These entries offer a glimpse into the later years of his spiritual and moral cultivation. Considering all these aspects, Lee Byung-gon’s scholarship can be defined as that of a late-Joseon Neo-Confucian scholar from the Yeongnam region, belonging to the Buk-in lineage of the Nam-in faction, whose academic roots trace through Lee Hwang to Jung Gu, grounded in Confucian practice and self-cultivation.
목차
1. 서론
2. 밀양 퇴로 여주이씨와 도산 사숙
3. 퇴수재 이병곤의 도산 사숙과 학문적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국유사』의 체재에 나타난 성스러움의 구도화
- 퇴계 이황의 귀향과 서원부흥운동의 의미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선구적 모형의 관점에서-
- 퇴수재 이병곤의 도산 사숙과 학문적 특징
- 퇴계 이황의 1666년 퇴계학파 3인의 상소문과 그 영향
- 영남 유학 3人의 性理說에 나타난 退溪學과의 접점과 간극 -이현일·이상정·류치명의 理氣·四端·七情을 중심으로-
- 국권 상실기 전우(田愚)의 시대인식과 사상적 모색
- 송정 조용의 삶과 학문적 위상
- 절성(節性)ㆍ인성(忍性)ㆍ복성(復性)의 도덕관념 계승 관계 구명(究明)
- 이토 진사이의 주희 천지만물생성과 이선기후(理先氣後) 비판
-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의 장도화 구도
- 『三綱行實圖』의 유교 윤리적 의미와 현대사회
- ‘동양 사람들은 점(占) 보기를 좋아한다’는 사회심리학적 결론에 대한 검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