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퇴계 이황의 귀향과 서원부흥운동의 의미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선구적 모형의 관점에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aning of Toegye Yi Hwang's Return to Home and Seowon Revival Movement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ioneering model of community revitalization -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퇴계학논집』제36권, 7~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퇴계 이황의 귀향과 서원부흥운동이 조선 중기 향촌 사회에 미친 사회문화적 변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원이 오늘날 ‘지방시대’의 선구적 모형으로서 갖는 현대적 함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퇴계는 중앙 정치의 도덕적 한계를 체감하고 자발적으로 향촌으로 귀향하여 향약을 정비하고 서원을 설립함으로써, 지역 사회의 윤리 질서와 자치 기반을 재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는 도산서원을 중심으로 교육·제향·경제·공론 등의 복합 기능을 실현하며 서원을 지역사회 조직의 중심 장치로 정착시켰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서원의 다기능성과 규범 체계가 향촌 사회의 구조를 어떻게 재편했는지를 고찰하고, 서원이 지역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하며 지방 자치의 원형적 실천으로 작동했음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퇴계의 서원운동이 현대의 지역 거버넌스, 공동체 인성 교육, 주민 자치 모델과 연결될 수 있음을 제안하며, 서원이 단순한 유교 유산이 아닌 오늘날 지역 균형발전의 철학적·제도적 전거로 재조명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o-cultural transformation of Toegye Yi Hwang's return to his hometown and the Seowon revival movement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examine the modern implications of Seowon as a pioneering model of today's 'local era'. Toegye felt the moral limitations of central politics, voluntarily returned to Hyangchon, reorganized the Hyangyak, and established a seowon, thereby re-establishing the ethical order and autonomy foundation of the local community. He realized complex functions such as education, feast, economy, and public debate centering on Dosan Seowon, and settled Seowon as the central device of local community organiza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ultifunctionality of seowon and the normative system reorganized the structure of Hyangchon society, and analyzed that seowon served as a local public forum and operated as a prototype practice of local autonomy.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Toegye's seowon movement can be linked to modern regional governance, community character education, and resident autonomy model, and attempted to clarify that seowon can be re-examined as a philosophical and institutional tradition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oday, not just a Confucian heritag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퇴계 귀향의 실천성과 지식 권력의 지방화
1) 귀향의 철학과 실행 은거에서 실천으로
2) 귀향의 철학과 실행 은거에서 실천으로
3. 서원운동의 제도화와 사회구조 매개 기능
1) 서원의 다기능성 교육제향경제공론의 복합 공간
2) 향촌 자치의 제도적 기반 형성과 변혁
4. 지방시대의 선구적 모형으로서의 서원
1) 서원의 사상적 계승과 현대적 재해석
2) 서원과 지역 거버넌스의 가능성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국유사』의 체재에 나타난 성스러움의 구도화
- 퇴계 이황의 귀향과 서원부흥운동의 의미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선구적 모형의 관점에서-
- 퇴수재 이병곤의 도산 사숙과 학문적 특징
- 퇴계 이황의 1666년 퇴계학파 3인의 상소문과 그 영향
- 영남 유학 3人의 性理說에 나타난 退溪學과의 접점과 간극 -이현일·이상정·류치명의 理氣·四端·七情을 중심으로-
- 국권 상실기 전우(田愚)의 시대인식과 사상적 모색
- 송정 조용의 삶과 학문적 위상
- 절성(節性)ㆍ인성(忍性)ㆍ복성(復性)의 도덕관념 계승 관계 구명(究明)
- 이토 진사이의 주희 천지만물생성과 이선기후(理先氣後) 비판
-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의 장도화 구도
- 『三綱行實圖』의 유교 윤리적 의미와 현대사회
- ‘동양 사람들은 점(占) 보기를 좋아한다’는 사회심리학적 결론에 대한 검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