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권 상실기 전우(田愚)의 시대인식과 사상적 모색
이용수 0
- 영문명
- Perceptions of the Era and Ideological Explorations of Jeon Woo During the Loss of Sovereignty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저자명
- 이상익
- 간행물 정보
- 『퇴계학논집』제36권, 131~1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우는 조선 말기 국가적 위기의 근원을 ‘도학(道學)이 침체되어 교화(敎化)가 행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도학의 본질을 규명하여 올바른 실천의 노선을 정립하고자 했다. 전우가 찾아낸 ‘실천의 노선’은 두 가지였다. 첫째는 ‘마음의 동정이 이치에 부합하게 한다’는 것으로서, 이는 성사심제설(性師心弟說)로 연결되었다. 둘째는 ‘몸의 출처가 이치에 부합하게 한다’는 것으로서, 이는 용사행장론(用舍行藏論)으로 연결되었다.
전우는 선비의 책무를 ‘덕행’과 ‘사업’으로 요약하고, “덕행은 반드시 ‘성명(性命)의 올바른 이치’에 근본해야 하고, 사업은 반드시 ‘출처(出處)의 정밀한 의리’에 근본해야 한다.”고 설파했다. 그런데 당시 학자들은, 혹은 ‘심즉리(心卽理)’를 주장하여 오직 자신의 의지를 옳다고 믿으며, 혹은 오직 ‘사공(事功)’만 추구하여 경솔하게 조정에 진출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심즉리’를 표방하는 사람들은 결국 창광자자에 빠지고, ‘사공’만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결국 선비의 지조도 잃고 도를 실천하지도 못한다는 것이 전우의 우려였다.
전우가 화서학파의 ‘심즉리설’을 비판한 것은 철학적으로 타당한 것이었다. 그러나 ‘국난의 상황에서는 초야의 선비도 국정을 논할 수 있다’는 화서학파의 실천론을 ‘사공론’으로 규정하고 ‘패도(霸道)가 남긴 풍습’이라고 비판한 것은 지나친 비판이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Toegye Yi Hwang and “dialogue and communication”. Jeon Woo diagnosed the cause of the national crisis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s the decline of Confucian Learning of the Way (道學), which led to a failure in social education (敎化). In response, he sought to clarify the essence of Confucian Learning of the Way and establish a correct path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The "practical path" that Jeon Woo identified was twofold. The first was to align the movements of the mind with reason, which was connected to the doctrine of "The Nature as Teacher, the Mind as Disciple" (性師心弟說). The second was to align the engagement and reclusion with reason, which was referred to “engagement only with adequate treatment” (用舍行藏論).
Jeon Woo summarized the duties of a Confucian scholar as "virtuous action" and "enterprise," proclaiming that "virtuous action must be fundamentally based on the correct principle of nature (性命), and enterprise must be fundamentally achieved by the precise discernment of one’s moral duty regarding engagment/reclusion." However, he criticized the scholars of his time, noting that some claimed "Mind is Principle" (心卽理), regarding their own will as righteous, while others pursued only "achievements and accomplishments" (事功), rashly seeking positions in the court. Consequently, Jeon Woo expressed concern that those who espoused "Mind is Principle" would ultimately fall into self-indulgence, and those who pursued only "achievements and accomplishments" would lose their integrity as scholars and fail to practice the true Way.
Jeon Woo's critique of the "Mind is Principle" doctrine held by the Hwaseo School was philosophically valid. However, his labeling of the Hwaseo School's practical theory—that even reclusive scholars can discuss national affairs in times of national crisis—as "the doctrine of achievements and accomplishments" and his criticism of it as a "culture left by hegemonic rule" was an excessive reproach.
목차
1. 서론
2. 전우의 시대 인식과 대응논리
3. 전우의 사상적 노선 모색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삼국유사』의 체재에 나타난 성스러움의 구도화
- 퇴계 이황의 귀향과 서원부흥운동의 의미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선구적 모형의 관점에서-
- 퇴수재 이병곤의 도산 사숙과 학문적 특징
- 퇴계 이황의 1666년 퇴계학파 3인의 상소문과 그 영향
- 영남 유학 3人의 性理說에 나타난 退溪學과의 접점과 간극 -이현일·이상정·류치명의 理氣·四端·七情을 중심으로-
- 국권 상실기 전우(田愚)의 시대인식과 사상적 모색
- 송정 조용의 삶과 학문적 위상
- 절성(節性)ㆍ인성(忍性)ㆍ복성(復性)의 도덕관념 계승 관계 구명(究明)
- 이토 진사이의 주희 천지만물생성과 이선기후(理先氣後) 비판
-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의 장도화 구도
- 『三綱行實圖』의 유교 윤리적 의미와 현대사회
- ‘동양 사람들은 점(占) 보기를 좋아한다’는 사회심리학적 결론에 대한 검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