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인공지능(AI) 활용 실태 및 정책적 요구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ir policy dema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김채연 지성화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4권 제2호, 247~27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 실태 및 이에 대한 정책적 요구를 파악하고자 서울 및 경기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였으며, 전문가 타당도 검토를 통해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χ²검정)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기관의 대부분이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으며, 교사 연령이 낮을수록 활용 빈도가 높았다. 인공지능은 주로 교사 주도 활동 시간에 이미지․음성 인식, 정보 검색 등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교사의 관심 부족과 활용법 미흡, 연수 기회 부족 등이 주요 제약 요인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요구 측면에서는 AI 기기 및 환경 지원, 정기적 교사 연수, 활동 사례 중심의 실질적 자료 제공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교사 경력 및 학력에 따라 연수 내용에 대한 요구가 상이하게 나타나 차별화된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의 AI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과 실천적 전략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utilized b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identify their related policy deman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prior studies and validated by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used to survey 250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chi-square (χ²) 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institutions utilized AI, with younger teachers reporting higher usage. AI was mainly used while conducting teacher-led activities, particularly for image recognition, voice interac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Low teacher interest, limited skills, and lack of training were identified as the barriers restricting AI utilization. Teachers expressed critical needs for needs for infrastructure, regular training, and practical materials. These demands varied based on teachers’ experience and academic background, indicating the need for targeted training program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offers empirical data to support policy development and AI integr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 유아 자아탄력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지도와 유아의 미디어 규칙 준수의 관계에서 미디어 조절력의 매개효과: 2023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토픽모델링을 통한 영아교사․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키워드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인공지능(AI) 활용 실태 및 정책적 요구 분석
-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과 전문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양식의 보장(SDG12)을 위한 유아 업사이클링의 실행과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