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과 전문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and professionalism o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ir technology self-efficacy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저자명
부성숙 김선아
간행물 정보
『어린이미디어연구』제24권 제2호, 271~29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 전문성,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과 전문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자료수집 후,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과 전문성,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 및 전문성이 높을수록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과 전문성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매체 활용의 하위변인 중 소프트웨어 제작과 활용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상호작용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전문성 하위변인 중 지식, 태도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과 전문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소프트웨어 제작과 활용 등 매체 활용 수준과 전문성의 기술, 태도 향상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igital media utilization, professionalism, and technology self-efficacy,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and professionalism on their technology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and professionalism on their technology self-efficacy.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among 30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teachers’ digital media utilization, professionalism, and technology self-efficacy, indicating that high levels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and professionalism were associated with high technology self-efficacy. Second, both digital media utilization and professionalism had a positive impact on technology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software development and use positively influenced technology self-efficacy, whereas interaction had a negative effect.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rofessionalism, knowledge and attitude positively influenced technology self-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gital media utilization and professionalism are key factors that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chnology self-efficacy. Therefore, educational support aimed at strengthening teachers’ software proficiency, professional expertise is necessary to help them excel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부성숙,김선아. (2025).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과 전문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24 (2), 271-292

MLA

부성숙,김선아.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과 전문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24.2(2025): 271-2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