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거리두기에 따른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 및 자기성찰 수준의 차이
이용수 2
- 영문명
- Differences in Novice Counselors’ State Anxietyand Self-Reflection Levels According to Self-Distancing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이승경 하정희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2호, 139~15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거리두기가 초심 상담자의 상태불안을 완화하고 자기성찰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인 기법인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담 경력 1년 미만의 초심 상담자 60명을 자기-거리두기 집단, 자기-몰입 집단,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각 집단은 불안을 유발하는 시나리오를 읽고 그 장면을 회상하도록 하되, 자기-거리두기 혹은 자기-몰입 방식으로 회상하도록 유도되었으며, 이를 보다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글쓰기 과제가 함께 실시되었다. 상태불안과 자기성찰을 측정한 결과, 자기-거리두기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상태불안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고 자기성찰 수준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거리두기가 초심상담자의 정서 조절과 자기성찰에 효과적인 개입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단기간 개입으로도 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 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에 실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self-distancing serves as an effective technique for alleviating state anxiety and enhancing self-reflection among novice counselors. A total of 60 counselor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 self-distancing group, a self-immersion group, and a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a scenario designed to induce anxiety and then recall the experience, with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s guided to do so from either a self-distanced or a self-immersed perspective. To reinforce the recall method, a structured writing task was includ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elf-distanc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state anxiety an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elf-refle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distancing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reflection in novice counselors. Importantly, the observed effects emerged even through brief intervention, indicating the practical potential for incorporating self-distancing techniques into counselor training program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단축형 예일음식중독척도 2.0(K-mYFAS 2.0) 타당화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한 노인 우울 연구 동향 분석
- 간호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억제를 통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경험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자기-거리두기에 따른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 및 자기성찰 수준의 차이
- 부모의 자아분화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친밀감의 이중매개효과
- 우울장애 여성 내담자의 자기대화 변화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류분석 상담 중심으로
- 비자발적 실직자의 울분 감소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지혜치료의 활용
- 일본의 부등교(不登校) 현황과 대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