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억제를 통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ffect of Nurse's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Depress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it through Emotion Sup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김민진 이연주 배성만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2호, 25~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서 억제를 통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임상 간호사 422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릿의 하위요인(흥미유지, 노력지속)을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세분화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우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서 억제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정서 억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그릿, 흥미유지, 노력지속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넷째,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 억제를 통한 그릿과 하위요인들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릿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세분화하여 살펴봄으로써 간호사의 우울 예방을 위해 그릿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depression among nurses and tested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grit through emotional suppression.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422 clinical nurses, and subfactors of grit (i.e.,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were analyzed separately to explore their distinct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ladaptive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Second, emotion suppress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Third, grit and its subfactor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ression and depression. Fourth,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for grits and its subfactors in the indirect pathway from maladaptive perfectionoism to depression via emotion suppres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targeted interventions to ehnahce grit as a protective factor for preventing depression in nurse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단축형 예일음식중독척도 2.0(K-mYFAS 2.0) 타당화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한 노인 우울 연구 동향 분석
- 간호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억제를 통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경험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자기-거리두기에 따른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 및 자기성찰 수준의 차이
- 부모의 자아분화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친밀감의 이중매개효과
- 우울장애 여성 내담자의 자기대화 변화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류분석 상담 중심으로
- 비자발적 실직자의 울분 감소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지혜치료의 활용
- 일본의 부등교(不登校) 현황과 대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