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자아분화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친밀감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parental self-differentiation on parenting attitudes: The sequential mediation of communication efficiency and marital intimacy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이혜영 유나현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2호, 123~13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자아분화와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친밀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세∼13세 사이의 자녀를 양육하는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96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와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연구 가설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이 양육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친밀감은 자아분화와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순차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자아분화는 의사소통효율성을 통해 부부친밀감을 증진시키고, 이는 자녀양육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이 자녀 양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더 나아가 부모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친밀감 증진이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가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자의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부부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친밀감을 증진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가족상담 및 부모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efficiency and marital intim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their parenting attitud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96 married men and women raising children aged 5 to 13.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3.5,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test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self-differentia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mmunication efficiency, martial intimacy, and parenting attitudes Second, self-differentia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arenting attitudes. Third, communication efficiency and marital intimacy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attitudes. In other words, higher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were associated with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which in turn enhanced martial intimacy and positively influenced parenting attitud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elf-differentiation in shaping parenting attitudes and suggest that improving communication and intimacy between partners may contribute to healthier parenting.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단축형 예일음식중독척도 2.0(K-mYFAS 2.0) 타당화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한 노인 우울 연구 동향 분석
- 간호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억제를 통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경험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자기-거리두기에 따른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 및 자기성찰 수준의 차이
- 부모의 자아분화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친밀감의 이중매개효과
- 우울장애 여성 내담자의 자기대화 변화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류분석 상담 중심으로
- 비자발적 실직자의 울분 감소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지혜치료의 활용
- 일본의 부등교(不登校) 현황과 대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