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울장애 여성 내담자의 자기대화 변화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류분석 상담 중심으로
이용수 10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 Female Client with Depressive Disorder's Self-Talk Transformation Process: Focusing on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송정선 김장회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2호, 81~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여성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교류분석 상담을 통해 부정적 자기대화가 긍정적 자기대화로 변화되는 과정을 탐색하고, 이러한 변화가 정서적 회복과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우울장애를 진단받은 만 20세 이상의 여성 내담자 6명을 대상으로 총 10∼16회의 상담을 진행하였으며, 상담 종료 후 내담자별로 2∼3회의 심층 면담을 추가로 실시하고, 상담 일지와 면담 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한 분석 결과, 상담 전 자기대화는 ‘역기능적 성장 배경과 부정적 자기대화의 시작’, ‘삶에 대한 압박과 부정적 자기대화의 일상화’, ‘존재 부정과 부정적 자기대화의 고착화’의 세 가지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상담 후 자기대화는 ‘상담을 통한 삶의 변화와 긍정적 자기대화의 시작’, ‘변화된 삶과 긍정적 자기대화의 일상화’,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긍정적 자기대화의 정착’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우울 내담자의 자기대화 변화 과정을 구조화하여 상담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through which negative self-talk is transformed into positive self-talk in female clients diagnosed with depressive disorder, using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It also examined how these changes influenced emotional recovery and self-acceptance. Six female clients aged 20 years and older, all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participated in 10 to 16 counseling sessions. Following the completion of counseling, each participant engaged in two to three in-depth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from counseling records and interview transcripts.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major thematic domains prior to counseling: a dysfunctional upbringing and the onset of negative self-talk, life pressures and the normalization of negative self-talk, and existential denial and the entrenchment of negative self-talk. After counseling, three corresponding domains of change emerged: life change through counseling and the emergence of positive self-talk, the routinization of positive self-talk in a transformed life, and hope for the future and consolidation of positive self-talk.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단축형 예일음식중독척도 2.0(K-mYFAS 2.0) 타당화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한 노인 우울 연구 동향 분석
- 간호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억제를 통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경험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자기-거리두기에 따른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 및 자기성찰 수준의 차이
- 부모의 자아분화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친밀감의 이중매개효과
- 우울장애 여성 내담자의 자기대화 변화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류분석 상담 중심으로
- 비자발적 실직자의 울분 감소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지혜치료의 활용
- 일본의 부등교(不登校) 현황과 대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