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경험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diating Roles of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서혜린 함경애 이동훈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2호, 45~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아동기 외상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인 1,137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척도, 수치심 척도, 경험회피 척도, 비자살적 자해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21.0과 Mplus 8.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외상 경험이 수치심을 매개로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아동기 외상 경험이 경험회피를 매개로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외상 경험이 수치심과 경험회피를 거쳐 비자살적 자해 경험으로 이어지는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기 외상 수준이 높을수록 수치심과 경험회피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아동기 외상 수준이 높을수록, 경험회피가 높으며 비자살적 자해가 발생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 결과들은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예방 및 개입에 있어 아동기 외상, 수치심, 경험회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non-suicidal self-injury (NSSI) in a sample of adults. A total of 1,137 participants completed measures of the Childhood Trauma Scale, Shame Scale, Experiential Avoidance Scale, and Non-Suicidal Self-Injur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Mplus 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effect of childhood trauma on NSSI through shame alon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experiential avoidance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NSSI. Third, a significant serial mediation effect was observed, in which childhood trauma influenced NSSI through both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childhood trauma tend to experience greater shame and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experiential avoidance. Additionally, increased experiential avoidance is associated with a greater likelihood of engaging in NSSI.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non-suicidal self-injury should comprehensively consider childhood trauma,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a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단축형 예일음식중독척도 2.0(K-mYFAS 2.0) 타당화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한 노인 우울 연구 동향 분석
- 간호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억제를 통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경험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자기-거리두기에 따른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 및 자기성찰 수준의 차이
- 부모의 자아분화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친밀감의 이중매개효과
- 우울장애 여성 내담자의 자기대화 변화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류분석 상담 중심으로
- 비자발적 실직자의 울분 감소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지혜치료의 활용
- 일본의 부등교(不登校) 현황과 대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