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의 부등교(不登校) 현황과 대책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urrent Status of and Policy Response to School Refusal in Japan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김예진 하미선 정다송 KASE susumu 이동훈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2호, 157~17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의 부등교 현황과 대책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정책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문부과학성에서 발표한 부등교 대응 정책과 주요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주요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일본의 부등교 학생 발생률은 인구 1,000명당 37.2명으로 한국의 학업중단률보다 약 5배 높았다. 둘째, 일본에서는 ‘이지메(집단괴롭힘)’, ‘가정환경의 변화’, ‘의욕 결여’ 등이 부등교 원인으로 지목되며, ‘질병’, ‘장기결석’, ‘해외출국’ 등을 학업중단의 주요 사유로 분류하는 한국과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학교 등 다양한 수준에서 다층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2023년 발표한 ‘COCOLO 플랜’이 포괄적이고 실천적인 종합 대책으로 평가된다. 넷째, ‘팀 학교’ 체계를 통해 조기 발견과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자 하며, 다기관 협력 기반의 지원이 강조된다. 다섯째, 일본은 부등교 예방 및 대응의 일환으로 학교 내 구조적·문화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사례는 유사한 문화적 배경과 정책 과제를 지닌 한국의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정책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refusal (futōkō) in Japan and explore its policy responses to draw implications for supporting out-of-school youth in South Korea. To this end, the study reviewed key policies and initiatives released by Japan’s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Five major findings were identified. First, the incidence rate of school refusal in Japan stands at 37.2 per 1,000 students, approximately five times higher than South Korea’s school dropout rate. Second, the main causes of school refusal in Japan include bullying (ijime), changes in familyenvironment, and lack of motivation, which differ from South Korea, where dropout is more often attributed to illness, long-term absence, or oversee relocation. Third, Japan has established a multi-tiered response system spanni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schools, with “COCOLO Plan,” announced in 2023, recognized as a comprehensive and actionable national strategy. Fourth, the “Team School”approach strengthens early identification and tailored support through multi-agency collaboration. Fifth, Japan is actively pursuing structural and cultural reforms within schools as part of its efforts to prevent and address school refusal. These findings offer valuable insights for advancing youth dropout prevention and support policies in South Korea, particularly given the two countries ‘similar cultural and educational contexts.
목차
일본의 부등교 현황
일본의 부등교 대책
논의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단축형 예일음식중독척도 2.0(K-mYFAS 2.0) 타당화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한 노인 우울 연구 동향 분석
- 간호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억제를 통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경험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자기-거리두기에 따른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 및 자기성찰 수준의 차이
- 부모의 자아분화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친밀감의 이중매개효과
- 우울장애 여성 내담자의 자기대화 변화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류분석 상담 중심으로
- 비자발적 실직자의 울분 감소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지혜치료의 활용
- 일본의 부등교(不登校) 현황과 대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