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과 대만의 중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 비교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Secondary School Second Language Education in Japan and Taiwan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후지오 사쿠라 린 티엔 후이 박창언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1호, 133~15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본과 대만의 중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정책과 운영 현황의 비교를 통해 한국에서의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일본과 대만의 제2외국어 교육정책과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 비교의 결과를 보면, 일본에서의 외국어 교육 정책은 영어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고, 제2외국어는 선택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교육현장의 과목 개설 현황도 적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대만의 제2외국어 교육정책과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만은 국가정책적으로 제2외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일본에 비해 고등학교에서 개설하는 과목이 상대적으로 많게 나타났다. 한국의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선택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국가에서 제2외국어 과목을 설정하여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단위학교에서 선택하여 운영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본과 대만의 비교 결과를 통해 국가의 정책적 뒷받침의 중요성, 학생의 관심과 사회적 필요의 조화, 교원 양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implications in Korea by comparing the education policies and operational status of high schools in Japan and Taiwan.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policies and current status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in Japan and Taiwan. The results of these comparisons show that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in Japan is operated mainly in English, the second language is an elective subject, and the current status of subject opening in the educational field is small. In comparison, we looked at Taiwan's second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current status. Taiwan provides second language education as a national policy, so there are relatively more subjects opened in high schools than in Japan. Korea's 2022 revised curriculum is an elective subject for high school, and it is structured that the state sets a second foreign language course to present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unit school selects and operates them. Through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Japan and Taiwan,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national policy support, the harmony of student interests and social needs, and the need for policy support for teacher training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II. 2 일본의 제 외국어 교육 정책과 현황
Ⅲ. 2 대만의 제 외국어 교육 정책과 현황
Ⅳ. 2 일본과 대만의 제 외국어 제도 비교
Ⅴ.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필리핀한국국제학교를 통해 본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노인의 공간에 대한 의례과정 연구
- 한국에서 출간된 핀란드 관련 단행본 동향 분석
- 대학생의 진로 및 취업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한 교육 방안 연구: C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choo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Distributed Leadership on Beginning Teacher Burnout
- 학습 격차 : 취학 전 수리력이 초등학교 학업 성취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일본과 대만의 중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 비교 연구
- 중국의 교육책무성 연구 동향
- 심리자본이 중국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책임감의 매개 효과
- 대학생들의 동화책 제작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Kolb의 경험 학습이론의 관점으로 -
-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Necessity of Gifted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China: A Decision Tree Approac
- 한중 초중고 교원 보수제도 비교
- IB Diploma Programme의 국·공립 고등학교 도입 사례 연구
- AI 학습용 아동 상담 데이터 구축 및 위기아동 선별을 위한 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