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B Diploma Programme의 국·공립 고등학교 도입 사례 연구
이용수 43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IB DP in Public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장연우 김영은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1호, 267~29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B 프로그램의 공교육 도입이 교육청 단위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고 실제 IB 인증 학교 및 인증 단계에 들어간 학교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주로 IB 과목 편성을 통해 운영되는 고등학교 수준의 IBDP는 전체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포함한 학교 운영에 영향을 준다. 또한 이수해야 할 교과 외에도 엄밀한 이수 조건(예, core requirements)이 존재한다. 이에 학교 맥락이나 조건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DP를 도입하여 운영하는지 두 학교 사례를 선정하여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A고등학교는 일부 학급 도입 유형, B고등학교는 전체 학교 도입 유형으로 분류하고, 두 학교의 DP 도입 배경, DP를 반영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사 운영 및 DP 도입을 통한 학교 변화 방식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일부 학급 도입 유형인 A고등학교의 2~3학년 교육과정은 일반반과 IB반으로 구분되어 편성되어 있었으며 상당수의 선택군이 존재하였다. 1학년 Pre-DP 과정은 정규 교육과정 외 별도의 시간을 편성하여 운영되고 있었고, 상당수 교사들은 IB 과목을 가르치는 동시에 우리나라 과목도 함께 가르쳐야 하는 상황이었다. A고등학교에서는 IB DP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가 IB 수업과 평가 방식을 우리나라 과목에 접목하는 것을 통해 학교의 수업・평가를 변화시키고 있었다. 전체 학교 도입 유형인 B고등학교는 2~3학년 전체 교육과정을 IB 과목을 중심으로 편성하고 있었으며, 1학년 Pre-DP 과정은 우리나라 공통 과목에 DP 수업·평가 방식을 접목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 교사 대부분은 DP 과목만을 전담하고 있었으며, DP 과목의 전면 편성 운영이 이 학교의 수업・평가 변화 방식이 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IBDP 도입을 위해서는 학교 맥락과 도입 목적을 고려한 도입 유형 선택,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복잡도와 학생 선택권 실현의 균형적인 고려, 학교 문화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introduction of the IB program into public education is spreading, mainly at the district level, and the number of schools that have received IB certification or are in the process of certification is rapidly increasing. The IBDP influences the overall school curriculum at the high school level. In addition to the courses that need to be completed, IBDP has strict completion requirements (e.g., core requirement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by selecting two schools to explore how the DP is introduced and operated depending on the school context and conditions. School A follows a partial class adoption model, while School B adopts the full school model. The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DP adopti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reflecting the DP, teacher management, and the changes in the school brought by the introduction of the DP. School A, with the partial class adoption model, organized its curriculum grades 2 and 3 by dividing it into regular classes and IB classes, with a considerable number of elective options available. On the other hand, School B, which follows the full-school adoption model, organized the curriculum for grades 2 and 3 around IB subjects, while the 1st-year Pre-DP course combined domestic common subjects with DP teaching and assessment method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at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IB DP,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ontext and purpose of adoption, the complexity of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a balanced approach to students’ choice, and the school’s cultural aspects.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필리핀한국국제학교를 통해 본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노인의 공간에 대한 의례과정 연구
- 한국에서 출간된 핀란드 관련 단행본 동향 분석
- 대학생의 진로 및 취업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한 교육 방안 연구: C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choo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Distributed Leadership on Beginning Teacher Burnout
- 학습 격차 : 취학 전 수리력이 초등학교 학업 성취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일본과 대만의 중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 비교 연구
- 중국의 교육책무성 연구 동향
- 심리자본이 중국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책임감의 매개 효과
- 대학생들의 동화책 제작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Kolb의 경험 학습이론의 관점으로 -
-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Necessity of Gifted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China: A Decision Tree Approac
- 한중 초중고 교원 보수제도 비교
- IB Diploma Programme의 국·공립 고등학교 도입 사례 연구
- AI 학습용 아동 상담 데이터 구축 및 위기아동 선별을 위한 도구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