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에서 출간된 핀란드 관련 단행본 동향 분석

이용수  29

영문명
Analysis of Trends in Books Related to Finland Published in Korea: Focusing on Discourses Related to Finnish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저자명
김영환
간행물 정보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1호, 43~6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69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핀란드 관련 단행본 344권을 대상으로 출판 동향과 교육 담론을 분석하였다. RISS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해 연도별 출판 주체(정부/민간) 변화, 키워드 상관관계, 클러스터 그룹 특성을 체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2000년을 기점으로 민간 출판물이 교육·문화·여행 분야에서 급증하며 학술계와 대중의 관심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교육'이 최상위 연결중심성(64)을 보였으며, '민간' 노드가 매개중심성(820.646)에서 정부·연구소 출판물을 압도했다. 셋째, 클러스터 분석 결과 정책·산업(G1), 북유럽 문화(G2), 교육 체계(G3), 복지 시스템(G4)으로 그룹화되었으며, 특히 G3에서는 PISA 성적과 무관한 '행복', '창의성', '전인적 성장' 키워드가 빈번히 연계되었다.2001년 이후 민간 출판물은 핀란드 교육 모델을 단순한 성공 사례가 아닌 평등·협력 기반의 북유럽 특성으로 재해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4년 이후 감소세는 온라인 콘텐츠 확산과 연관성이 추정된다. 이 연구는 학술 논문 중심의 기존 연구를 보완하며, 교육 정책 수립 시 대중적 인식과 학문적 논의의 간극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ublishing trends and educational discourse of 344 Finland-related monographs published in South Korea from 1969 to 2024. Utilizing the RISS database, a network text analysis was conducted to systematically examine changes in publishing entities (government/private sector) over time, keyword correlations, and cluster group characteristic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2000, private sector publications have surged in the fields of education, culture, and travel, revealing a distinct divergence between academic and public interest. Second, keyword network analysis identified "education" as the most central node (degree centrality = 64), while the "private sector" node dominated between centrality (820.646), surpassing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 publications. Third, cluster analysis categorized Finland-related monographs into four groups: policy & industry (G1), Nordic culture (G2), education system (G3), and welfare system (G4). Notably, G3 frequently linked keywords such as "happiness," "creativity," and "holistic growth," which were unrelated to PISA rankings. Since 2001, private sector publications have increasingly reinterpreted the Finnish education model as a Nordic system based on equality and cooperation rather than a mere success case. The decline in publications after 2014 is likely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of online content. This study complements existing research that has primarily focused on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highlights the need to bridge the gap between public perception and scholarly discourse when shaping educational poli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환. (2025).한국에서 출간된 핀란드 관련 단행본 동향 분석.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 (1), 43-63

MLA

김영환. "한국에서 출간된 핀란드 관련 단행본 동향 분석."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1(2025): 4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