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교육책무성 연구 동향
이용수 8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f Education Accountability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원슈쥐엔 김병주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1호, 221~2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책무성은 어느 국가에서나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중국에서 교육 책무성 개념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이후 이제 20년이 지났다. 이러한 시점에서 중국 교육 책무성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이 연구는 시각화 소프트웨어 CiteSpaceIII를 활용하여 중국국가지식인프라(CNKI)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2004-2023년까지 ‘교육 책무성’을 주제로 발표된 554편의 학술논문(article)을 데이터 표본으로 분석하고, 시각화 연구를 진행하였다.이 논문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분야의 핫스팟을 도출하였다: 1) 책무성 및 교육 책무성에 대한 메타 연구, 2) 다원화된 교육 책무성 연구, 3) 교육 품질을 핵심으로 하는 교육 책무성 연구, 4) 교육 책무성의 외국 경험과 현지화 연구.중국의 20년간 교육책무성 연구는 역‘U’자형 발전 진화 추세를 보였으며, 중국의 교육책무성 연구에 참여한 학자 집단은 지속해서 성장하고 연구 역량이 강화되었다.
영문 초록
Education accountability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any country.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oncept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began in earnest in China. From this point of view, I would like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in China.This study used visualization software CiteSpaceIII to analyze 554 academic papers published on the subject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as a data sample from 2004 to 2023 based on the Chinese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database and conduct visualization research.Through the analysis of this paper, the following four research hot spots were derived: 1) meta-study on accountability and educational accountability, 2) diversified research on educational accountability, 3) research on educational accountability with educational quality as its core, and 4) foreign experience and localization research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China's 20 years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research showed an inverted 'U'-shaped development evolution trend, and the group of scholars who participated in China's educational accountability research continued to grow and strengthened their research capabilities.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필리핀한국국제학교를 통해 본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노인의 공간에 대한 의례과정 연구
- 한국에서 출간된 핀란드 관련 단행본 동향 분석
- 대학생의 진로 및 취업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한 교육 방안 연구: C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choo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Distributed Leadership on Beginning Teacher Burnout
- 학습 격차 : 취학 전 수리력이 초등학교 학업 성취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일본과 대만의 중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 비교 연구
- 중국의 교육책무성 연구 동향
- 심리자본이 중국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책임감의 매개 효과
- 대학생들의 동화책 제작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Kolb의 경험 학습이론의 관점으로 -
-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Necessity of Gifted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China: A Decision Tree Approac
- 한중 초중고 교원 보수제도 비교
- IB Diploma Programme의 국·공립 고등학교 도입 사례 연구
- AI 학습용 아동 상담 데이터 구축 및 위기아동 선별을 위한 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