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Necessity of Gifted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China: A Decision Tree Approac
이용수 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천단 탄하오쉬안 저우웨퉁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1호, 151~18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parents of primary school students on the need for excellence in educa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it, in order to optimise relevant educ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Decision tree analysis was used to analyse the influence of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family income and region of residence on the perception of excellence in education based on survey data from parents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perceptions of educational excellenc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region of residence, family income and education. Among these, mathematics and science were seen as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implementing excellence in education, while the lower primary grades (grades 1-3) were seen as the best stage for implementation. Highly educated, high-income families were more likely to support excellence education, while low-income, low-educated parents were relatively cautious. The decision tree model had a predictive accuracy of 68.1%, demonstra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in analysing parents' educational perceptions and predicting their behaviour.
영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의 영재교육 필요성 인식과 그 영향 요인을 탐구하여 관련 교육 정책과 실천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성별, 연령, 학력, 가구 소득, 거주 지역 등의 변인이 영재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모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은 거주 지역, 가구 소득, 학력 등의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과 과학 분야에서 영재교육의 필요성을 가장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을 영재교육의 최적기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고학력 및 고소득 가정의 학부모일수록 영재교육을 지지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저소득 및 저학력 학부모는 상대적으로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결정트리 모델의 예측 정확도는 68.1%로, 이러한 방법이 학부모의 교육 인식 및 행동 예측에 적합함을 보여주었다.
목차
Ⅰ. Introduction
II. Research methodology
III. Research Results
Ⅳ.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필리핀한국국제학교를 통해 본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노인의 공간에 대한 의례과정 연구
- 한국에서 출간된 핀란드 관련 단행본 동향 분석
- 대학생의 진로 및 취업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한 교육 방안 연구: C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choo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Distributed Leadership on Beginning Teacher Burnout
- 학습 격차 : 취학 전 수리력이 초등학교 학업 성취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일본과 대만의 중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 비교 연구
- 중국의 교육책무성 연구 동향
- 심리자본이 중국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책임감의 매개 효과
- 대학생들의 동화책 제작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Kolb의 경험 학습이론의 관점으로 -
-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Necessity of Gifted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China: A Decision Tree Approac
- 한중 초중고 교원 보수제도 비교
- IB Diploma Programme의 국·공립 고등학교 도입 사례 연구
- AI 학습용 아동 상담 데이터 구축 및 위기아동 선별을 위한 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