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스포츠 심판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Study on Ways to Activate the e-sports Referee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이성원 이주연 이동헌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8권 제1호, 269~2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외 e스포츠 심판 관리 현황 및 문제 사례를 확인하고, 한계점을 분석하여 향후 e스포츠 심판제도의 발전 방향성을 모색함으로써 e스포츠 심판 운영 제도의 개선과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인 면담을 통하여, e스포츠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과 사례를 살핌으로써 e스포츠 심판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각 분야별로 나누어 e스포츠 심판, 감독, 선수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첫째, e스포츠 심판 선발과정에서 우수한 e스포츠 심판 자원을 양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명확한 선발 기준과 교육 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e스포츠에는 여러 종목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심판 선발이 중요하고, 교육 및 관리를 시행해야 한다. 둘째, e스포츠 심판 교육 체제를 위한 구축으로 급수별, 장르별, 종목별 교육의 시행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정기교육, 보수교육 등 보다 체계적인 교육 커리큘럼의 개발과 양질의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e스포츠 심판 전문성 강화를 위해, 심판의 분류를 보다 명확히 하여, 심판 사후관리에 힘써야 한다. 심판의 역량을 상시적으로 파악하여, 상황에 맞는 교육과 관리를 시행해야한다. 마지막으로 e스포츠 심판 조직 관리로 교육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심판 관리 체계의 개선, e스포츠 전문 심판 양성을 위한 독자적이고 전문적인 기관이나 부서가 운영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vision for improving the e-sports referee management system and strengthening expertise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 cases of e-sports referee management at home and abroad, analyzing limitations, and seeking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e-sports referee system.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lled interviews, and attempted to derive ways to revitalize the e-sports referee system by examining the opinions and cases of e-sports field exper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divided into each field, and e-sports referees, coaches, and play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irst, in the e-sports referee selection process, clear selection criteria and training courses must be established as a specific measure to foster excellent e-sports referee resources. Since there are multiple events in e-sports, it is important to select appropriate referees and provide training and management. Second, in establishing an e-sports referee education system, the development of a more systematic education curriculum and quality education, such as implementation of education by level, genre, and event, as well as regula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to strengthen expertise, must be preceded. Third, in order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e-sports referees, the classification of referees should be made clearer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follow-up management of referees. The capabilities of referees must be constantly monitored and training and management tailored to the situation must be implemented. Lastly, there is a need to operate an independent and specialized organization or department to manage the e-sports referee organization, improv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improve the referee management system, and cultivate professional e-sports referees.
목차
Ⅰ. 서 론
Ⅱ. e스포츠 심판 관련 현황
Ⅲ. e스포츠 관련 종사자 조사에 따른 e스포츠 심판제도의 한계점
Ⅳ. 해결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감독의 보상청구권에 관한 법적 연구 - 「저작권법」 일부개정안 마련을 중심으로 -
- 스포츠와 민사책임 - 프랑스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의 불공정 계약 관행과 법적 규제: 한국, 미국, 유럽의 비교 분석
- 프로스포츠 선수의 소셜미디어 활용과 법적 책임
- e스포츠 심판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소위 ‘강한 인공지능(AI)’ 영역에서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 스포츠·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중심으로 -
- 티켓 재판매 정책에 관한 고찰
- 중국 수영선수 집단도핑사건에 대한 소고
- 복지국가와 보장국가의 관점으로 본 스포츠 정책 변화 고찰 - 정부 간 비교를 중심으로
- 스포츠 인권침해 신고와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정책 과제
- 장애인 스포츠에서의 편의 제공과 공정의 딜레마 - 스포츠중재재판소(CAS)의 의족 스프린터 올림픽 출전 여부 판단에 대한 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
- 대리티켓팅과 티켓재판매의 구조분석과 각 행위별 규제에 관한 검토
- IPA 분석법을 통한 ‘이스포츠(전자스포츠) 진흥에 관한 법률’의 현황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 e스포츠 표준계약서의 개선 방향 연구 - 한국 표준계약서와 일본 히나형계약서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Management Review Vol.20 No.1 Contents
- Is Modernization of Public Transport in The Philippines A Boon or A Bane for The Filipino People?
- Toward a Framework for IT Utilization in Organizations: A Literature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