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티켓 재판매 정책에 관한 고찰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Ticket Resale Policy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오현석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8권 제1호, 239~26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티켓 최초 구매자가 해당 공연 등을 관람하기 어려운 경우 티켓을 재판매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일부 티켓 재판매의 경우 과도한 판매가격, 자동화된 프로그램(봇)을 이용한 부정한 티켓 확보 등으로 인해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다수의 국가들에서는 티켓 재판매시 액면가 이상으로 판매하는 것을 불법으로 간주하거나, 공식적인 판매 채널을 통해서만 티켓을 거래해야 하는 등의 법적 규제를 하고 있다. 또한, 최근 EU에서는 디지털서비스법(DSA)을 확대 적용하고, 티켓 재판매 플랫폼 사업자의 의무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 우리 역시 매크로를 통한 티켓 구매 금지, 액면가 초과 금액으로의 판매 금지 등 관련 입법을 추진하면서, 사실상 티켓 재판매에 대한 제한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제재 위주의 방식보다는 오히려 티켓 재판매 플랫폼을 양성화하고, 플랫폼 사업자에게 투명성, 공정성 제고를 위한 일정 요건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자는 논의가 최근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방식을 통한 정책 개선에는 특정 정보의 제공 의무, 판매가격의 상한선 설정, 봇(bot)을 사용한 티켓 사재기 금지 등 EU의 DSA의 내용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법적 보호가 완비된 안전한 거래 환경을 조성하고,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f it is difficult for first-time ticket buyers to see the performance, etc., they may have to resell their tickets. However, some ticket resale has recently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due to excessive sales prices and illegal ticket acquisition using automated programs (bots). Accordingly, many countries have legal regulations, such as considering it illegal to sell above the face value when reselling tickets, or requiring tickets to be traded only through official sales channels. In addition, the EU has recently strengthened consumer protection by expanding the Digital Services Act (DSA) and imposing obligations from ticket resale platform operators.
We are also actually strengthening restrictions on ticket resale by promoting related legislation such as the ban on ticket purchases through macros and the ban on sales at amounts exceeding the face value. However, rather than a sanctions-oriented method, discussions are being made to cultivate ticket resale platforms and impose certain requirements on platform operators to improve transparency and fairness. For such policy improvement, the contents of DSA in the EU, such as the obligation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setting an upper limit on sales prices, and prohibiting ticket hoarding using bots, can be reference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 safe trading environment complete with legal protection and minimize consumer damag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EU의 티켓 재판매 현황 및 규제 정책
Ⅲ. EU 디지털서비스법(DSA)상 티켓 재판매 규제
Ⅳ. EU 티켓 재판매 규범의 정책적 시사점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감독의 보상청구권에 관한 법적 연구 - 「저작권법」 일부개정안 마련을 중심으로 -
- 스포츠와 민사책임 - 프랑스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의 불공정 계약 관행과 법적 규제: 한국, 미국, 유럽의 비교 분석
- 프로스포츠 선수의 소셜미디어 활용과 법적 책임
- e스포츠 심판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소위 ‘강한 인공지능(AI)’ 영역에서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 스포츠·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중심으로 -
- 티켓 재판매 정책에 관한 고찰
- 중국 수영선수 집단도핑사건에 대한 소고
- 복지국가와 보장국가의 관점으로 본 스포츠 정책 변화 고찰 - 정부 간 비교를 중심으로
- 스포츠 인권침해 신고와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정책 과제
- 장애인 스포츠에서의 편의 제공과 공정의 딜레마 - 스포츠중재재판소(CAS)의 의족 스프린터 올림픽 출전 여부 판단에 대한 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
- 대리티켓팅과 티켓재판매의 구조분석과 각 행위별 규제에 관한 검토
- IPA 분석법을 통한 ‘이스포츠(전자스포츠) 진흥에 관한 법률’의 현황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 e스포츠 표준계약서의 개선 방향 연구 - 한국 표준계약서와 일본 히나형계약서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Management Review Vol.20 No.1 Contents
- Is Modernization of Public Transport in The Philippines A Boon or A Bane for The Filipino People?
- Toward a Framework for IT Utilization in Organizations: A Literature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