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사가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 미술치료사 발달 수준에 따른 FGI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thical Dilemma and Coping Strategy Experience of Art Therapists in Clinical Settings: 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o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al Level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세희 김보경 서하나 윤라미 이성령 정여주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2호, 321~3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1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 발달 수준에 따라 임상현장에서 겪는 윤리적 딜레마의 경험과 대처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17명의 미술치료사를 경력에 따라 초급, 중급, 전문가의 발달 수준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raun & Clarke(2006)의 6단계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각 수준별 3개의 중심의미와, 그에 따른 3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실제 현장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과 윤리규정 적용의 어려움에 대해 진술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이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대처하는 태도는 발달 수준이 높아질수록 더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참여자들은 지금까지의 윤리 교육이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였고, 미술치료 실제 현장의 이해가 자세히 반영된 윤리교육이 의무교육으로 자리 잡아 주기적으로 시행되길 원하고 있었다. 이같이 미술치료사의 발달 수준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 경험과 대처의 차이를 확인하고, 각 수준에 따른 윤리 교육의 세분화와 시대의 변화에 따른 윤리규정 개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ethical dilemmas and coping strategies encountered by art therapists in clinical settings, focusing on their developmental levels. The study recruited 17 art therapists categorized into three levels: beginner, intermediate, and expert group. Data from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a six-step method for thematic analysis developed by Braun and Clarke(2006), revealing three core meanings and 32 themes for each level. First, participants described the ethical dilemmas they faced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ethical guidelines. Second, as their developmental level progressed, their attitude for addressing ethical dilemmas became increasingly proactive and independent. Third, participants perceived previous ethics education as insufficient and emphasized the need for mandatory ethics training. They preferred training that included detailed insights into real-world clinical situations and was implemented periodically. This study highlighted the differences in experiences and coping mechanisms related to ethical dilemmas faced by art therapists at various stages of their careers. The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customized ethics education and updated guidelines to reflect contemporary developments. Additionally, the study discusse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미술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사가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 미술치료사 발달 수준에 따른 FGI 연구
- 두 청소년과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 전공생이 경험한 미술기반 슈퍼비전 수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One-Canvas 기법 미술작업을 중심으로
- ADHD아동과 모의 모자관계 개선을 위한 모자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 아동기 트라우마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치유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실존적 삶의 동행으로의 그림에 대한 자전적 탐구
-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미술치료연구 제32권 제2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자살생존자(Suicide Survivors) 국내 연구 동향 : 2007년부터 2024년까지
-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예비분석을 통한 적용가능성 평가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