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DHD아동과 모의 모자관계 개선을 위한 모자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n Mother-Child Art Therapy for Improving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of a Child with ADHD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왕은영 신지현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2호, 369~39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1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DHD아동과 어머니가 모자관계 개선을 위한 모자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ADHD 진단을 받고 약물복용을 시작한 8세 남아와 우울감을 호소하는 어머니이며, 2023년 10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주 1회 90분간 총 24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전 회기의 녹음파일과 축어록, 면담자료, 회기 별 작품 이미지, 연구자의 임상일지를 통해서 이루어졌고, 회기 별 분석과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자관계 개선을 위한 모자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참여자들은 각자가 경험하고 있는 불안하고 위축된 감정의 원인을 알아채고 표출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미술작업을 통해 몰입과 창조의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셋째, 모자미술치료를 통해 모자관계를 새롭게 구조화하고 적합한 상호소통의 방법을 습득하였다. 따라서 ADHD아동과 모의 모자관계 개선을 위한 모자미술치료를 통하여 참여자들은 건강하고 독립적인 자기개념을 형성함과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증진했다. 또한 원활한 의사소통의 방법을 습득하여 관계 개선의 결과를 이루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mother-child art therapy for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 with ADHD and a mother. The participants were an 8-year-old boy diagnosed with ADHD and his mother, who reported feelings of depression. From October 2023 to March 2024, they participated in 24 art therapy sessions, each lasting 90 minutes once a week. Data collection included recordings and transcripts of all sessions, interview materials, session-specific artwork images, and the researcher’s clinical journal. The study analyzed the data using session-by-session analysis and a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study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hrough mother-child art therapy activities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participants identified and expressed the causes of their anxious and withdrawn emotions.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joy of immersion and creation through art activities using various media. The mother-child art therapy helped rebuild their relationship and acquire appropriate methods of mutual communication.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formed a healthy and independent self-concept and enhanced their self-efficacy through the therapy for the ADHD child. They also acquired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leading to improved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왕은영,신지현. (2025).ADHD아동과 모의 모자관계 개선을 위한 모자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32 (2), 369-394

MLA

왕은영,신지현. "ADHD아동과 모의 모자관계 개선을 위한 모자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32.2(2025): 369-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