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기 트라우마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치유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Exploration on the Self-Healing of an Art Therapist Who Childhood Trauma Experienced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박예숙 신지현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2호, 395~41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1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의 아동기 트라우마 자기 치유를 위한 미술치료 과정을 탐구하는 자전적 연구이다. 연구 기간은 2023년 9월부터 12월까지 총 10회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그림 그리기, 글쓰기 등 다양한 미술치료 기법을 활용하여 트라우마 기억 재구성과 감정 표현을 촉진하였다. 연구 결과는 10개의 자기 치유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가 도출되었으며, 내면과 마주침, 트라우마와 대면, 그림자와 대면, 억울함과 대면, 진흙탕 속에서 나를 건져내다, 나쁜 손을 깨부수다, 상처의 깊이를 알아차리다, 산소 호흡기 같은 외할머니와 만나다, 나의 흔적을 발견하다, 어둠 속 빛에 안기다 등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동굴 속 탐험 여정, 트라우마에 맞서는 과정, 연결을 통한 치유와 성장, 고통 속에서 삶의 발견이라는 네 단계의 목표가 달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트라우마 자기 치유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며, 표현의 자유와 창의성 발현, 감각적 경험과 몰입, 관계적 경험과 공감을 통한 치유와 회복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개인 경험 기반 자전적 연구이지만, 아동기 트라우마 자기 치유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미술치료 분야에 이바지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autobiographical art therapy exploration of the researcher for self-healing from childhood trauma. The research spann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3, encompassing 10 art therapy sessions that employed diverse art therapy techniques, including drawing and writing, to facilitate trauma memory reconstruc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The study yielded ten self-healing art therapy experiences, revealing themes such as confronting the inner self, facing trauma, confronting the shadow, confronting resentment, getting out of a mud pit, shattering the bad hand, realizing the depth of wounds, encountering the grandmother like oxygen, discovering past traces, and embracing the light in the darkness. Additionally, the study achieved four goal stages: a cave exploration journey, confronting trauma, healing and growth through connection, and finding the value of life amidst suffering.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healing from trauma, providing healing and recovery through the freedom of expression, creative expression, sensory experiences and immersion, and relational experiences and empathy. While grounded in personal experience, this autobiographical study offered valuable insights into self-healing from childhood trauma and contributed to the field of art therap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미술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사가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 미술치료사 발달 수준에 따른 FGI 연구
- 두 청소년과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 전공생이 경험한 미술기반 슈퍼비전 수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One-Canvas 기법 미술작업을 중심으로
- ADHD아동과 모의 모자관계 개선을 위한 모자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 아동기 트라우마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치유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실존적 삶의 동행으로의 그림에 대한 자전적 탐구
-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미술치료연구 제32권 제2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진로선택에 대한 경험사례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이 인식하는 완벽주의, 어머니 양육태도, 정신건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