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on the Self-Efficacy of Mild Dementia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최은희 정영인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2호, 347~3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1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하고 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소재 주간보호시설 이용자 여섯 명의 경증치매노인으로 총 16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사과 따는 사람 그림 검사(PPAT)’를 활용하여 사전․사후․추후 그림 비교 분석과 회기별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PPAT 그림 검사 변화가 사전에 비하여 사후와 추후에는 나무의 형태가 구체화되고 색의 다양성과 채색의 농도, 나무에 열매가 풍성하며 사과를 따는 행위가 나타나 개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신감을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회기가 진행되면서 초기 자신감 없고 의기소침한 모습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작품 활동의 완성도를 높이며 성취감과 만족감을 경험하면서 자기효능감을 더욱 상승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of individuals with mild dementia by apply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observing changes.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six individuals with mild dementia who visited a daycare facil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16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were conducted. An assessment tool was the “Picking Apples from a Tree (PPAT)” drawing test, which involved pre-, post-, and follow-up comparisons of the drawings as well as the analysis of each session’s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in the PPAT drawing test revealed that, the post-test, and follow-up drawings compared to the pre-test showed more specific tree shapes, increased variety and intensity of colors, abundant fruit on the tree, and the act of picking apples, all of which indicated a sense of confidence in solving personal problems. Second, as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s progressed, participants, who initially lacked confidence and appeared withdrawn, began expressing their emotions more freely and improved the quality of their artwork. This led to increased feelings of accomplishment, satisfaction, and enhanced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미술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사가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 미술치료사 발달 수준에 따른 FGI 연구
- 두 청소년과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 전공생이 경험한 미술기반 슈퍼비전 수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One-Canvas 기법 미술작업을 중심으로
- ADHD아동과 모의 모자관계 개선을 위한 모자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 아동기 트라우마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치유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실존적 삶의 동행으로의 그림에 대한 자전적 탐구
-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미술치료연구 제32권 제2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자살생존자(Suicide Survivors) 국내 연구 동향 : 2007년부터 2024년까지
-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예비분석을 통한 적용가능성 평가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