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두 청소년과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Art Therapy Experience between Two Adolescents and an Art Therapist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이정원 최선남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2호, 447~47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1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인 연구자가 두 청소년과 함께한 미술치료 경험과 그 의미와 가치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두 명의 청소년 가을이와 겨울이로 2022년 6월부터 12월까지 각각 24회기로,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을이와 미술치료 경험은 ‘나를 지켜주는 엄마가 필요해요’, ‘비교로 인한 혼란과 혼동’, ‘인정받고 싶어요’, ‘그림이 봄을 주네요’, ‘끔직이가 변했어요’이고, 겨울이는 엄마에 대한 불안’, ‘이미지 작업은 불안을 잠재운다’, ‘기억의 이미지를 통해 안전함을 찾다,’ ‘내면의 힘을 찾다’로 이야기를 펼쳤다. 이 과정에서 발굴된 경험의 의미는 첫째, 이미지 작업은 자기 내면을 비추어 존재감을 드러내다. 둘째, 미술 매체는 판타지 세계와 현실 세계 사이의 가교(架橋)역할을 하다. 셋째, 고통 속에서 존재의 가치를 발견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는 두 청소년 표현한 이미지 작업을 통해 존재감을 드러내며 자기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안전 기지를 제공해 주었다. 둘째, 미술 매체는 두 청소년에게 상상의 판타지 세계에서 현실 세계로 소통할 수 있는 도구가 되어주었다. 셋째, 두 청소년의 미술치료는 고통 속에서 존재의 가치를 알아차리고, 삶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도와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art therapy two adolescents by the researcher, an art therapist, and its meaning and valu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wo teenagers, Autumn and Winter, who underwent 24 art therapy sessions from June to December 2022. As a result, the therapy experience of Autumn unveiled feelings of “Needing a protective mother,” “Turmoil and confusion due to comparison,” “Desire for acknowledgment,” “Art was spring to me,” and “The horror was gone.” “Winter unfolded themes of “Anxiety about the mother,” “Image work calmed my anxiety,” “Seeking safety through images from memory,” and “Discovering inner strength.” The experience of the two adolescents produced the following meanings: Firstly, their image work described their sense of existence and their inner selves. Secondly, art served as a bridge between fantasy and the world. Thirdly, they discovered the value of existence amidst pai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inquir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art therapy provided Autumn and Winter with a safe space to express their sense of existence, emotions through images, and emotional stability by visually expressing emotions. Secondly, art and imagery became tool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ir' fantasy and the world, fostering therapeutic empathy through sharing images and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hirdly, their art therapy experience helped them discover the value of existence amidst pain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Based on these cont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원,최선남. (2025).두 청소년과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32 (2), 447-471

MLA

이정원,최선남. "두 청소년과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32.2(2025): 447-4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