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 전공생이 경험한 미술기반 슈퍼비전 수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One-Canvas 기법 미술작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Art-Based Supervision Class Experience of Art Therapy Students: Focusing on Technique One - Canva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길미정 원희랑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2호, 493~51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1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과목 ‘고급 임상실습 및 수퍼비전’ 수업에서 실행한 연구자의 One-Canvas 기법 미술작업 경험은 어떠한지, 경험 이야기 탐구를 통해 경험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미술기반 탐구를 활용하였고, 내러티브 탐구 방법과 절차에 따라 경험의 내용과 의미를 기술하였다. One-Canvas 기법 미술작업은 이론서에서 학습한 슈퍼비전 관련 6가지 영역을 주제로 이루어졌다. 이를 반영하여 경험 이야기는 ‘나에게 슈퍼비전이란’, ‘미술치료에서 사례개념화’, ‘슈퍼비전에서 미술치료 윤리에 관한 요소’, ‘슈퍼비전 요소 중 비밀 유지에 대하여’, ‘반응 미술에 대하여’, ‘해로움의 접촉과 슈퍼비전’, ‘layer의 변화 과정을 공유하다’의 7개 주제로 구성하였다. 경험 이야기를 바탕으로 추출된 경험의 의미는 4가지로 다음과 같다. ‘layer와 layer 사이에 머물러보다’, ‘layer와 layer가 연결되고 대화하다’, ‘한계가 준 선물: 몰입과 이완’, ‘연결고리를 바라보다’로 형성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One-Canvas 기법의 미술작업은 슈퍼비전에 관하여 책에서 배운 것과 실제 임상경험을 연결해 주는 다리가 되어 전문가로서의 기능향상에 기여하였고, layering를 통한 표현은 개인적 자기와 전문가적 자기의 고차원적 통합을 촉진하였고, ‘자기평가’ 측면에 유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experience through the exploration of One-Canvas technique art in the ‘Advanced Clinical Practice and Supervision' class. Accordingly, the study applied an art-based inquiry and described its contents and meaning according to a narrative inquiry method and procedures. Creating One-Canvas artwork was based on six areas related to supervision that were studied in a theory textbook. Reflecting this, the experience storie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themes: ‘What is supervision to me?', ‘Case conceptualization', ‘Elements of art therapy ethics', ‘Confidentiality among the elements of supervision', ‘Responsive art', ‘Contact of harm and supervision', and 'Sharing the process of layer change'. Based on the experience story, the experience had four meanings: Staying between layers', ‘Layers connect and talk', ‘The gift of limitations: immersion and relaxation', and ‘Looking at the conn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rt work of the One-Canvas technique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 function by connecting what was learned from supervision textbooks and actual clinical experience, Also, the expression through layering promoted the high-level integration of the personal and the professional self, and was useful in the aspect of self-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미술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사가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 미술치료사 발달 수준에 따른 FGI 연구
- 두 청소년과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 전공생이 경험한 미술기반 슈퍼비전 수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One-Canvas 기법 미술작업을 중심으로
- ADHD아동과 모의 모자관계 개선을 위한 모자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 아동기 트라우마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치유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실존적 삶의 동행으로의 그림에 대한 자전적 탐구
-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미술치료연구 제32권 제2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진로선택에 대한 경험사례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이 인식하는 완벽주의, 어머니 양육태도, 정신건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