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계별・수준별 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물구나무서기와 손 짚고 옆돌기 수업 사례

이용수  5

영문명
The case of handstand and Cartwheel class for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lying step-by-step and level-specific learning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양태석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4호, 61~7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작도전은 다양한 이유로 학교현장에서 기피되고 있다. 이에 동작도전 중 물구나무서기, 손 짚고 옆돌기 동작을 원활하게 지도할 수 있도록 단계별・수준별 학습을 적용하여 보다 쉽고, 흥미있고, 안전하게 수업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충북 제천시에 위치한 Y초등학교 남자 21명, 여자 19명 총 40명의 초등 학생이며, 프로그램 전・후 설문자료, 개발형설문, 심층면담, 일기 등의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단계별・수준별 학습 후 물구나무서기와 손 짚고 옆돌기에 대한 이해, 흥미가 유발되었으며, 다음 동작을 도전하고 싶어 하는 등 동작도전에 관심이 높아졌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경쟁활동을 가장 좋아하였지만, 수업 후 도전활동이 5명(12.5%)에서 15명(37.5%)으로 빈도가 높아졌다. 여전히 경쟁활동을 가장 선호하지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셋째, 귀납적 범주화 결과 불안&두려움이 낮아지고, 자신감, 노력, 지속적인 도전 등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아이들이 학교체육현장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으면 한다.

영문 초록

Movement challenge is avoided in school for various reasons. Accordingly, presented material to make classes easier, more interesting, and safer by applying step-by-step and level-specific learning to smoothly teach handstand and cartwheel movements during the movement challeng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a total of 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21 boys and 19 girls from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cheon-si, Chungcheongbuk-do. Data such as pre- and post-program survey data, developed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s, and diar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step-bystep and level-spectific lear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gained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handstands and cartwheel, and their interest in movement challenges increased as they wanted to try the next movement. Second, although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ked competitive activities before class the most, the frequency of challenging activities after class increased from 5(12.5%) to 15(37.5%). Although competitive activities are still the most preferred, it has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Third, as a result of inductive classification, anxiety and nervousness were lowered, and there were some positive changes such as confidence, effort, and continuous challenge. We hope that these results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children to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at school sports sit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IV.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태석. (2025).단계별・수준별 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물구나무서기와 손 짚고 옆돌기 수업 사례.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 (4), 61-77

MLA

양태석. "단계별・수준별 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물구나무서기와 손 짚고 옆돌기 수업 사례."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4(2025): 6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