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육과의 본질에 관한 소고
이용수 17
- 영문명
- A Critical Review of the Essence of Phys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김성곤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4호, 39~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체육과의 본질은 언어적으로 규정하기 어려운 개념이다. 왜냐하면, 모든 언어적 개념에는 명확한 경계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개념이란 사람들이 특정한 대상이나 아이디어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하는 사고(思考)의 단위를 의미하며, 때로는 널리 공유된 ‘보편적인 관념’으로도 볼 수 있다. 우리가 어떤 개념을 규정할 때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모든 언어적 개념(단어)이 동일한 기표(記表)를 사용하더라도, 개인의 경험에 따라 각기 다른 언어적 의미, 즉 다양한 기의(記意)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버지’라는 단어가 개인마다 다른 의미를 지니는 것처럼, ‘신체활동’ 역시 사람들의 경험과 이해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체육과의 본질을 고정된 언어적 개념인 ‘신체활동’으로 정의한 기존의 시도는 다양한 해석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그 본질을 온전히 설명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체육과의 본질을 단순히 ‘신체활동’으로만 제한하지 않고, 체육 교과가 존재하는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을 중심으로 새롭게 정의될 필요가 있다. 즉, 체육 교과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신체적,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목표들을 포괄하는 더 폭넓은 교육 목적을 고려한 확장된 개념으로 정의해야 하며, 이를 위한 깊은 사고와 통찰이 우리에게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essence of physical education is a concept that is difficult to define linguistically. This is because all linguistic concepts lack clear boundaries. A concept, in this context, refers to a unit of thought used to understand and explain specific objects or ideas, and it can sometimes be regarded as a widely shared “universal notion.” The main reason we face difficulties in defining a concept lies in the fact that all linguistic concepts(words), even when using the same signifier (記表), can be interpreted with different meanings, or signifieds(記意), depending on individual experiences. For example, the word “father” holds different meanings for each person, just as “physical activity”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based on people's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s. Therefore, previous attempts to define the essence of physical education using the fixed linguistic concept of “physical activity” fail to fully capture its diverse interpretations and do not adequately explain its true essence.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define the essence of physical education not merely as “physical activity” but rather based on the ultimate reason or purpose for the existence of the physical education discipline. Specifically, it should be defined through an expanded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broader educational objectives—physical,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goals—that physical education aims to achieve. This calls for profound thought and insight to ensur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ts essence.
목차
Ⅰ. 서론
Ⅱ. ‘본질’과 ‘도구’의 언어적 개념
Ⅲ. 체육과의 본질이자 도구로서 ‘신체활동’에 관한 비판적 이해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15와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무용동아리 활동 참여 의미 탐색
- 초등학교 축구 종목 학생선수의 스포츠로의 사회화 경험: 학교 팀과 클럽 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1・2학년 기본 움직임 기술(FMS)을 위한 체조교육의 학습내용 구성 및 효과
- 초등학생 표현 활동 수업을 위한 처용무 기반 전통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학습효과
- 블렌디드 액션러닝 기반 초등 교육실습 지도 교사의 체육수업 PCK 발달에 관한 실행연구
- 체육과의 본질에 관한 소고
- 예비 초등교사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스포츠동아리 활동의 조절효과 검증
- 2022 개정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교과 융합 수업 운영 방안 연구: 체육-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체육교과에 기반한 교과융합 프로그램의 운영과 그 의미
- 단계별・수준별 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물구나무서기와 손 짚고 옆돌기 수업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