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 표현 활동 수업을 위한 처용무 기반 전통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학습효과

이용수  50

영문명
Development of a traditional culture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Cheoyongmu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ression activity classes and its learning effects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강민서 조건상 권용철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4호, 115~13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표현 활동 수업 활성화를 위해 처용무와 콘텐츠를 융합한 전통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검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2024년 9월부터 11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교사 1명, 처용무 전문 강사 1명, 동료 교사 1명, 초등학생 4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 심층 면담, 각종 문서자료를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 분석은 귀납적 내용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처용무와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학습 이해와 흥미를 높이고, 자기 표현력과 창의적 사고를 증진함으로써 전통문화 예술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전통문화와 현대적 콘텐츠의 융합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춘 수업을 통해 자발적 학습 참여를 촉진하고, 협력과 소통 능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셋째, 교사들에게는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수업 설계를 가능하게 하여 수업 진행의 부담을 덜고 체계적인 교육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초등 교육과정에서 전통문화 예술교육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춘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들은 전통문화와 콘텐츠를 융합한 수업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전문 지식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aditional culture art education program that integrates Cheoyongmu and content to activ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ression activity classes, and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by applying it to actual classes. The study was conducted 10 times in total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4, and the participants were 1 teacher, 1 Cheoyongmu expert instructor, 1 fellow teacher, and 4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various document materials, and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asses utilizing Cheoyongmu and various content increased students' learning understanding and interest, and promoted self-expression and creative thinking, thereby bring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raditional culture art education. Second,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content contributed to promoting voluntary learning participation through classes tailored to students' levels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ird, it enables teachers to design efficient and creative classes,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class progress and enabling systematic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national support tailored to the learners' level are needed. In addition, teachers need to cultivate specialized knowledge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teach classes that combine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cont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민서,조건상,권용철. (2025).초등학생 표현 활동 수업을 위한 처용무 기반 전통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학습효과.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 (4), 115-133

MLA

강민서,조건상,권용철. "초등학생 표현 활동 수업을 위한 처용무 기반 전통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학습효과."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4(2025): 115-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