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체육교과에 기반한 교과융합 프로그램의 운영과 그 의미

이용수  53

영문명
The Meaning of the Subjects Convergence Program Based on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장용규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4호, 15~3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과에 기반한 교과융합 프로그램의 실제 사례를 반성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체육교과에 기반한 교과융합 프로그램 운영의 방향성과 교육적 의미를 드러내 보는 것이다. 이영석 등(2021, 2021a, 2021b, 2022, 2023)이 수년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실시한 국어, 체육, 영어 교과 간 실천적 융합교육 연구는 교과 간 경계를 허물고 세 교과가 융합이라는 협업을 이루어낸 실험적 연구사례로 평가된다. 특히, 동일한 차시 내에서 여러 교과의 내용을 함께 다루는 통합의 방식을 새로이 시도하였는데, 동일한 주제를 각 교과시간에 따로 가르치는 물리적 융합의 방식을 벗어나, 단위 차시 내에서 국어, 체육, 영어 교과의 내용을 함께 섞어 가르치는 화학적 융합의 방식을 선택・적용하였다. 체육교과에 기반한 융합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 협력적 실행연구는 첫 째, ‘소통’이라는 새로운 신체활동 가치의 발견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둘째, 체육이 갖는 실천중심 교과로서의 강점을 부각시킬 수 있다. 셋째, 체육교과에 기반한 융합프로그램을 통해 통합교육에 있어서 중추교과로서 체육의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다. 교과 간 헤게모니에서 자유롭고 학생 이해도가 높으며 여러 교과의 내용을 파악하고 있는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융합교육의 이상을 실현할 최고의 적임자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 개발 및 재구성을 위한 우수사례 발굴 및 교사 재교육 등과 같은 현장교사 연수기관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주제중심의 교과융합을 지향하는 미래교육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예비교사의 소통능력과 다학문적인 통찰 및 실천의지를 함양하도록 교사교육기관 또한 노력해야 한다. 체육교과는 고유의 실천성・가소성・총체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미래사회 통합교육에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주변교과와의 다양한 소통과 융합 노력을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아가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actual cases of subject convergence programs based on physical education subjects, and to reveal the direction and educational meaning of subject convergence programs based on physical education. The research on practical convergence education between Korean, English,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conducted continuously by Lee Young-seok (2021, 2021a, 2021b, 2022, 2023) is evaluated as an experimental research case that broke the boundaries between subjects and achieved a collaboration between the three subjects. In particular, a method of chemical fusion was selected and applied to mix and teach the contents of several subjects together within the same class. First, the operation of a convergence program based on physical education has the meaning of discovering a new value of physical activity called ‘communication’. Second, it can highlight the strengths of physical education as a practice-oriented subject. Third,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identity of physical education as a central subject in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a convergence program based on physic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who are free from hegemony between subjects, have high student understanding, and grasp the contents of various subjects, are the best candidates to realize the ideal of convergenc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on-sit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uch as finding best practices and retraining teacher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reorganization. And in order to move toward future education aimed at subject-centered subject convergence, teacher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also strive to cultivate pre-service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multidisciplinary insights, and willingness to practice. Physical education subjects can play a pivotal role in future social integration education due to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of practice, plasticity, and totality, and in this regard, various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efforts with surrounding subjects should be more actively developed.

목차

Ⅰ. 서론
Ⅱ.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융합교육
Ⅲ. 체육교과 기반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융합 프로그램의 실제
Ⅳ. 체육교과 기반 융합 프로그램 운영의 의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용규. (2025).초등학교 체육교과에 기반한 교과융합 프로그램의 운영과 그 의미.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 (4), 15-38

MLA

장용규. "초등학교 체육교과에 기반한 교과융합 프로그램의 운영과 그 의미."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4(2025): 1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