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심기반수용모형에 의한 유아교사의 유아메이커교육 관심도 분석
이용수 7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Maker Education by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in Early Childhood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남미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4호, 107~1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합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방안으로 평가되고 있는 유아메이커교육의 실천을 위해 유아교사(교사, 원감, 원장)의 유아메이커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 공·사립 유치원 55곳, 371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들의 유아메이커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는 비사용자의 프로파일 유형과 가장 유사하였다. 유아교사의 개인배경요인 별 관심도 차이 분석에서는 근무지역(서울, 경기)과 근무 기관(사립, 공립)에 따라 관심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 최종 학력, 교직경력, 직급, 연수 경험에 따른 관심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만41세 이상, 대학원 재학 이상, 교직경력 9년 이상, 원장과 원감, 연수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의 관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에게 메이커 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자료 제공을 통해 관심도를 높임으로써 유아메이커교육이 교육현장에 정착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age of concerns(SoC) of childhood educators (teachers, inspectors, and principals) on “Childhood Maker Education” that is regarded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order to train and cultivate talented individuals who are best suit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given in questionnaire form targeting 55 public/ private kindergartens, 371 early child educators in order to analyze their SoC. The result shows that the overall SoC of the early child educators on “Childhood Maker Education” were quite similar to that of the type in the profile of the “Non-User”. In the analysis of the SoC of individual early child educators, it did not show many differences in both working areas (Seoul/ Kyung-Gi province) and working organizations(private/public sectors) but showed differences in their ages, academic career, teaching career, positions in the job, and training experiences. We noticed that the SoC was statistically, meaningfully high for those early child educators who were 41 years and older in age, had 9 years plus teaching experience, were inspectors and principals, and who were teachers who had haven training experiences. This research shows the results in quite a positive manner which it is necessary to keep providing early child educators with various information on “Childhood Maker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aterials. These will keep their SoC high, and “Childhood Maker Education” is well established in the education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 과정
- 부모의 유엔아동권리협약 실천을 위한 고민
-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 중개성을 활용한 이야기그림책 읽기 방법 연구 -〈동물원〉의 '보는 이'를 중심으로
- S-OJT(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를 활용한 유치원 초임교사 입문교육 적용 사례
- 말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및 말놀이 운영실태 분석
- 관심기반수용모형에 의한 유아교사의 유아메이커교육 관심도 분석
- 병설유치원 단일학급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교직적응의 의미
- 공동육아의 언어교육활동으로서 마주이야기에 대한 교육적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