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동육아의 언어교육활동으로서 마주이야기에 대한 교육적 탐색
이용수 6
- 영문명
- An Exploration of Childrens The Ma-ju Story as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in Cooperative Child-car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부미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4호, 77~10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의 공식적인 회보〈공동육아〉에 게재된 마주이야기를 분석하여 공동육아의 언어교육의 흐름과 그 안에 내포된 마주이야기의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중심 언어를 강조하는 교육 철학과 기관·가정의 협력적 관계를 바탕으로, 5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공동육아에서 마주이야기가 중요한 언어교육활동으로 활발하게 실천되었다. 이후 마주이야기의 적극적인 실천이 점점 약해지다가 사라졌고, 회보의 다른 꼭지에 더부살이 단계를 거쳐 ‘마주이야기’ 꼭지라는 집을 만들고 그 안에서 마주이야기는 더부살이가 아닌 독립적 거주를 하게 되었다. 공동육아의 마주이야기는 긴 시간 동안 부침의 역사적 과정을 거쳐 다시 살아났다. 마주이야기가 생명력을 유지하면서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지속적으로 가지려면 기록과 해석을 통한 끊임없는 교육적 활용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교사와 부모의 대화적 관계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eam of language education in the Cooperative Child-care and the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of the Ma-ju story by analyzing the Ma-ju story published in the official bulletin of the Cooperative Child-care.
As a result of the study, since the Ma-ju story began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that emphasizes life-oriented language in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 centers and families, language education has been practiced very actively for a short period of five years.
Since then, the active practice of the Ma-ju story gradually weakened and then disappeared, and after going through the stage of the ‘Ma-ju story’ at the other corner of the bulletin, a house called ‘the Ma-ju story’ was built, and that Ma-ju story became an independent residence, not a resident servant.
The Ma-ju story has been revived through the historical process of ups and downs for a long time. For the Ma-ju story to maintain its vitality and to have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it is necessary to use it continuously through documentation and interpretation. And above all,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convers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마주이야기의 교육실천 과정
Ⅳ. 공동육아에서의 마주이야기의 교육적 가치와 의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 과정
- 부모의 유엔아동권리협약 실천을 위한 고민
-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 중개성을 활용한 이야기그림책 읽기 방법 연구 -〈동물원〉의 '보는 이'를 중심으로
- S-OJT(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를 활용한 유치원 초임교사 입문교육 적용 사례
- 말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및 말놀이 운영실태 분석
- 관심기반수용모형에 의한 유아교사의 유아메이커교육 관심도 분석
- 병설유치원 단일학급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교직적응의 의미
- 공동육아의 언어교육활동으로서 마주이야기에 대한 교육적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