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이용수  20

영문명
A Study on Mother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Basic Life Habits of Infant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노미나 정대련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4호, 223~24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S구 소재 국공립어린이집 10개소의 24∼36개월 영아 83명의 어머니 및 담임교사 2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해 인식을 조사하였고, 보다 구체적인 인식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 중 어머니 및 교사 각 5인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의 어머니와 교사 모두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을 중요하게 인식하며, 기본생활습관 3개 영역 중 ‘안전하게 생활하기’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어머니와 교사는 가정을 기본생활습관 형성의 주 역할자로 인식하였으며,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 지도 과정에서 영아의 양육 시기에 맞는 적절한 정보의 부족 및 부모-교사 간 또는 담임교사 상호간 등 인적 환경 간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에 관한 본 연구는 차후 실질적인 양육 및 보육을 지원하는 부모교육 또는 교사교육의 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로서 역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basic life habits of infant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ose two group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83 mothers of daycare center infants between 24 and 36 months and 28 homeroom teachers from 10 national daycare centers in S district in Seoul. To find out the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basic life habits,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show that both the mothers and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basic life habits as an important matter, and the ‘safe living’ category as more important than ‘healthy living’ and ‘self-help’. Mothers an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family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basic life habits, and the difficulties they have in guiding the formation of basic life habits of infants were that they lack proper information suitable for parenting and find inconsistencies in the human environment, such as relations between mother and teacher or between teacher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mother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to set the direction of parental 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미나,정대련. (2020).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 (4), 223-245

MLA

노미나,정대련.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4(2020): 223-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