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개성을 활용한 이야기그림책 읽기 방법 연구 -〈동물원〉의 '보는 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How to Read Narrative Picture Books Using Mediacy - Focusing on the Focalizor of 〈The Zoo〉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래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4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야기그림책의 경우 전통적인 서사물과는 달리 ‘그림’을 통해 전달되는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글 텍스트 해석에 필요한 시점과 인칭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고는 글과 그림으로 담론화 되는 이야기그림책의 서술 특성에 맞는 읽기 방법을 제시했다. 즉 글 이야기뿐만 아니라 그림 이야기의 분석과 해석에도 관여할 수 있는 서술 방법이 필요한데, 본고는 서술의 초점화에 주목했다. 초점화는 이야기그림책 읽기에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과정과 전략을 제공한다. 특히 이야기 그림책의 ‘그림’ 이야기가 ‘말하는 이’ 아니라 ‘보는 이’의 관점으로 전달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초점화 이론을 읽기 방법과 전략으로 재개념화하는 작업은 의미가 있다. ‘보는 이’ 중심의 이야기 읽기는 내적초점화, 외적초점화, 독자초점화의 층위에서 진행된다. 각각의 초점화 논의를 바탕으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활동 내용을 제시했다. 독자는 보는 이와 그 대상의 관계를 파악하면서 다음 장면에 이어질 내용을 추측하고, 장면과 장면을 통합적으로 구성하면서 전체 스토리를 구성한다. 또한 독자 스스로 ‘보는 이’가 되어 상상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영문 초록
In the case of narrative picture books, unlike traditional narratives, there is a story that is conveyed through the pictures thu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work from a point of view, and a person is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This paper presents a reading method suitable for the narrative of narrative picture books expressed in text and pictures. In other words, we need a narrative method that can be involved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not only the verbal narrative but also the visual narrative. This article denotes it as a focalization. Focalization provides a reading process and strategy centered on the ‘focalizor’ in reading narrative picture books. Considering that the visual narrative in a narrative picture book is convey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calizor rather than the narrator, reconceptualizing the focalization theory into a reading method and strategy is meaningful. Reading stor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is done based on the layers of internal focalization, external focalization, and reader focalization. Based on each discussion of the focalization, the contents of the reading activit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야기그림책 읽기의 서사론적 관점
Ⅲ. 이야기그림책의 중개성
Ⅳ. ‘보는 이’ 중심의 이야기그림책 읽기 활동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 과정
- 부모의 유엔아동권리협약 실천을 위한 고민
-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 중개성을 활용한 이야기그림책 읽기 방법 연구 -〈동물원〉의 '보는 이'를 중심으로
- S-OJT(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를 활용한 유치원 초임교사 입문교육 적용 사례
- 말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및 말놀이 운영실태 분석
- 관심기반수용모형에 의한 유아교사의 유아메이커교육 관심도 분석
- 병설유치원 단일학급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교직적응의 의미
- 공동육아의 언어교육활동으로서 마주이야기에 대한 교육적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