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 과정
이용수 18
- 영문명
- Change Process in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ctual Applic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임승렬 전방실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4호, 21~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나타난 유아와 교사의 변화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예비연구를 포함하여 연구는 2019년 10월 15일부터 2020년 9월 25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반 교사 7명을 목적적 표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 반성적 저널, 교육 계획안 및 일지, 연구자 노트에 나타난 자료를 분류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대범주와 하위범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제에 나타난 유아의 변화 과정으로는 놀이시간과 공간에 대해 주도적인 유아, 우리 반 주인은 바로 ‘우리들’로 인식하는 유아, 충분한 놀이로 행복한 유아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로는 내가 알던 놀이 vs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놀이, ‘실행-평가-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운영, 교사의 자율성 강조에서 느껴지는 책임감으로 유목화 할 수 있었으며, 교사에게 여전히 남아있는 숙제로 배움이 일어나는 놀이로 만드는 어려움, 동료교사와 협업 및 소통의 어려움, 학부모가 지향하는 교육과정과의 간극과 이질감으로 계속되는 유아교사의 고민을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s in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s applying the revised 2019 Nuri program.
The study, including preliminary studies,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2019 to September 25, 2020. Seven teachers carrying out the revised 2019 Nuri program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of the study. As research data, in-depth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educational plans and diar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nges in the operation of the child-centere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meant young children who led the play time and space and the owners of their class recognized us as ‘we’ and happy infants with enough play. The paradigm shift in the teacher's curriculum management was nomadicized she knew in the play vs. revised Nuri program and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s an ‘execution-evaluation-plan’, and the responsibility felt by the emphasis on teachers' autonomy.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concer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follows: with difficulties in making it play where learning takes place with the remaining homework of teachers, difficulties in collaboration with fellow teacher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gaps and differences with the curriculum pursued by the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 과정
- 부모의 유엔아동권리협약 실천을 위한 고민
-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 중개성을 활용한 이야기그림책 읽기 방법 연구 -〈동물원〉의 '보는 이'를 중심으로
- S-OJT(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를 활용한 유치원 초임교사 입문교육 적용 사례
- 말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및 말놀이 운영실태 분석
- 관심기반수용모형에 의한 유아교사의 유아메이커교육 관심도 분석
- 병설유치원 단일학급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교직적응의 의미
- 공동육아의 언어교육활동으로서 마주이야기에 대한 교육적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