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병설유치원 단일학급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교직적응의 의미
이용수 21
- 영문명
- Difficulties of Beginning Teachers in a Single Kindergarten Class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and the Meaning of Adaptation to Teaching Profess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안지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4호, 169~1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병설유치원 단일학급 초임교사들이 생각하는 교직의 어려움과 교직 적응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병설유치원 단일학급에 부임한 초임교사 5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병설유치원의 단일학급 초임교사들은 초등학교의 부속기관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며,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는 초임교사에 대한 신뢰의 부재로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교직을 시작하면서 인수인계와 동료교사의 네트워크가 부족하여 교직 적응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그들의 첫 1년 동안의 교직적응의 의미에 대하여 수업운영의 불안정성, 교사전문성에 대한 자기확신 결여, 초임교사로서의 생존으로 인식하였다. 그에 대한 개선을 위해서는 단일학급의 초임교사를 위한 지원과 학습공동체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그에 대한 지원을 제도적으로 마련하고, 생태학적 특수성에 적합한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beginning teachers in a single kindergarten class think of the difficulties and meaning of adaptation regarding teaching. To this e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beginning teachers assigned to a single class at a kindergarten that is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the teachers in the single class experienced confusion in teacher identity because of being subsidiary to an elementary school. ln addition, they suffered from lack of trust regar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s parents. Due to the lack of a network among fellow teachers, they also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Instability of class operation, insufficient self-assurance in teacher expertise, and survivability as a beginning teacher were perceived to explain their process of adaptation to the teaching prof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ed for support and learning communities for beginning teachers in a single class, and provide educational support suitable for ecological specific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 과정
- 부모의 유엔아동권리협약 실천을 위한 고민
-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 중개성을 활용한 이야기그림책 읽기 방법 연구 -〈동물원〉의 '보는 이'를 중심으로
- S-OJT(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를 활용한 유치원 초임교사 입문교육 적용 사례
- 말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및 말놀이 운영실태 분석
- 관심기반수용모형에 의한 유아교사의 유아메이커교육 관심도 분석
- 병설유치원 단일학급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교직적응의 의미
- 공동육아의 언어교육활동으로서 마주이야기에 대한 교육적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