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 실습지도교사, 실습지도교수의 기대도와 만족도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of Student Teachers, Cooperating Teachers and Instructing Professors with Teaching Practicum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영 권덕수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397~41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 지도교사, 지도교수의 기대도와 만족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의 학교현장실습을 수행한 3학년 학생 244명, 실습지도교사 244명, 실습지도교수 17명이다. 학교현장실습의 기대도와 만족도는 학교현장실습의 효과, 실습생의 전문적 자질, 지원체제를 공통요인으로 하고, 연구대상에 따라 지도교사의 자질, 실습 평가, 실습기관의 적절성, 실습생의 기본적 자질을 하위요인으로 추가 구성하였다. 모든 설문지는 총 19문항으로 Likert 5점 자가 평정척도이며, 신뢰도는 실습생 .926, 실습지도교사 .901, 실습지도교수 .977이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일원공변량분석(One Way ANCOVA),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기대도와 만족도에서 실습지도교수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습생은 전문적 자질 이외의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실습지도교사는 모든 요인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기대도와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acticums among three groups: student teachers, cooperating teachers and instructing professors. The study subjects were 244 third-grade student teachers who completed the teaching practicum for the early-childhood education major, 244 cooperating teachers and 17 instructing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in Gyounggi-do. The common factors for the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um were ‘effect of the teaching practicum’, ‘expertise of the student teachers’ and ‘supporting system’. The subfactors were ‘ability of cooperating teachers’, ‘assessment of teaching practicum’, ‘appropriateness of the institution’ and ‘basic quality of student teachers’, varying with the study subjects.
The survey had 19 questions in total using a 5 point self-rating Likert scale. The reliability of the student teachers, cooperating teachers and instructing professors was 0.926, 0.901 and 0.977. T-test, One Way ANOVA, One Way ANCOVA and Scheffe were used to analyze the Mean and SD of the data. All analyses used SPSS 20.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practicum for instructing professors differed overall.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practicum for student teachers had a difference with all factors except for ‘expertise of the student teachers’, while those of cooperating teachers had no difference with any facto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practicum between those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미 프로젝트 활동에 나타난 혼합연령 유아들의 지식형성 과정에 관한 의미 연구
- 신체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영아의 반응 탐구
- '나다움어린이책'에 수록된 양성평등 그림책 연구
-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 실습지도교사, 실습지도교수의 기대도와 만족도 연구
- 전래동화를 활용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 경험에 기반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및 교육적 의미
- 고경력 영아교사가 느끼는 보람과 어려움
- 만 4세 유아의 내·외적 학습동기가 글 없는 그림책 읽기행동에 미치는 영향: 협동과 경쟁 맥락의 조절효과
- 유아 성실 측정도구 개발
- 영아 은비의 일상적 음악경험 의미 탐색
-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요리활동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에밀리 그래빗(Emily Gravett)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징: 메탈렙시스 중심으로
- 또래와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