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또래와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13
- 영문명
- Exploration of Young Children's Narrative in Peer Pla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민 권민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203~23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또래와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내러티브를 관찰하여 미메시스와 환상내러티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C시에 소재한 A어린이집 만 5세 유아 19명(남아 10명, 여아 9명)으로 자료수집과 분석은 2018년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약 7개월간 이루어졌다. 오전 자유놀이시간에 또래와의 놀이를 관찰하여 놀이에서 나타나는 내러티브를 수집하였으며, 관찰일지 및 연구자 일지 등 추가 자료를 함께 분석하였다. 또래와의 놀이에서 나타난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미메시스 내러티브에서 현실에서의 경험을 재현하기도 하지만, 경험을 변형시키며, 현실을 뒤집는 내러티브를 만들었다. 둘째, 환상 내러티브에서는 불멸의 인물과 마법의 도구가 등장하였고, 신비한 공간과 신기한 사건으로 내러티브를 만들어나갔다. 유아들이 놀이에서 또래와 만들어낸 내러티브는 현실 경험의 모방과 재현을 넘어선 창조와 변형의 과정이며, 새로움을 형성해 나가는 미메시스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현실과 상상을 넘나들며 자유롭게 표현되는 환상의 내러티브는 유아에게 즐거움과 재미,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죽이는 인물, 부수는 도구와 비현실적 사건이 등장하여 성인은 이러한 내러티브를 과격하게 여기고 금기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는 유아의 관심과 욕구가 반영된 교육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정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bserved and analyzed young children’s narratives produced in peer play with respect to mimesis and fantasy. The peer play of nineteen children under the age of 5 (10 boys, and 9 girls) was observed for 7 months, and the children’s narratives were collected during morning peer play sessions. The observation diaries and researchers’ notes were analyzed. The analyses of the transcribed data showed that in the mimesis narrative, the children represented the experiences they had in reality; they transformed the reality and reversed it. Second, in the fantasy narrative, the children came up with immortal characters or magical tools, mysterious places or twilight events. The children’s narratives during peer play is not just a copy of past experiences. Instead, it is a creative process that involves change and transformation that goes beyond reality, and it is a mimesis process that forms a sense of newness or difference. In addition, the fantasy narrative helps children to express their desire or fear while freely crossing the borders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enabling them joy, fun, and catharsis throughout the peer play process. Children’s narratives deserve to be acknowledged as to reveal their interest and, desires rather than tabooing their fantas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미 프로젝트 활동에 나타난 혼합연령 유아들의 지식형성 과정에 관한 의미 연구
- 신체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영아의 반응 탐구
- '나다움어린이책'에 수록된 양성평등 그림책 연구
-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 실습지도교사, 실습지도교수의 기대도와 만족도 연구
- 전래동화를 활용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 경험에 기반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및 교육적 의미
- 고경력 영아교사가 느끼는 보람과 어려움
- 만 4세 유아의 내·외적 학습동기가 글 없는 그림책 읽기행동에 미치는 영향: 협동과 경쟁 맥락의 조절효과
- 유아 성실 측정도구 개발
- 영아 은비의 일상적 음악경험 의미 탐색
-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요리활동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에밀리 그래빗(Emily Gravett)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징: 메탈렙시스 중심으로
- 또래와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