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밀리 그래빗(Emily Gravett)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징: 메탈렙시스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Emily Gravett's Postmodern Picturebooks: On the Basis of Metalepsi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명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111~1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에밀리 그래빗의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대상으로 메탈렙시스의 특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은 에밀리 그래빗의 『늑대들』(Wolves)과 『겁쟁이 꼬마 생쥐 덜덜이』(Little Mouse's Big Book of Fears)의 파라텍스트와 서사적·시각적인 메탈렙틱 장치를 바탕으로 포스트 모던 그림책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그림책들은 파라텍스트와 글과 그림에서 서사적·시각적으로 서사 층위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중적인 서사 구조인 메탈렙시스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미장아빔과 트롱프뢰유 기법을 활용해 허구와 실제의 세계를 오가며 새로운 글과 그림의 의미를 추출하고 놀이성과 흥미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에밀리 그래빗의 두 권의 포스트모던 그림책들은 메탈렙시스의 다층적인 구조의 서사를 읽으며 독자가 사전 지식과 경험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추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여러 층위를 넘나드는 메탈렙틱 장치의 다양성을 이해하며 독자의 상상력과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매체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mily Gravett's postmodern picturebooks on the basis of metalepsis. Wolves and Little Mouse's Big Book of Fears written by Emily Gravett were analyzed through paratext, narrative and illustrative metalepsis which disturb or break narrative boundar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various paratext, narrative and illustrative metaleptic transgressions of narrative structures by multiple narrative levels including mise-en-abyme and trompe l’oeil as the verbal and visual devices. The metaleptic devices of these two books were able to deduce the innovative meaning of words and pictures and create playfulness and interest blurring of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iction world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two postmodern picturebooks not only provide opportunity drawing new meaning according to the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s while reading multiple narrative structures, but also would be valuable reading materials improving the imagination and playfulness of children by understanding various metaleptic dev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미 프로젝트 활동에 나타난 혼합연령 유아들의 지식형성 과정에 관한 의미 연구
- 신체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영아의 반응 탐구
- '나다움어린이책'에 수록된 양성평등 그림책 연구
-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 실습지도교사, 실습지도교수의 기대도와 만족도 연구
- 전래동화를 활용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 경험에 기반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및 교육적 의미
- 고경력 영아교사가 느끼는 보람과 어려움
- 만 4세 유아의 내·외적 학습동기가 글 없는 그림책 읽기행동에 미치는 영향: 협동과 경쟁 맥락의 조절효과
- 유아 성실 측정도구 개발
- 영아 은비의 일상적 음악경험 의미 탐색
-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요리활동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에밀리 그래빗(Emily Gravett)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징: 메탈렙시스 중심으로
- 또래와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