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희 김은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327~34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국내 학위논문연구 동향 고찰을 통해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국내 학위논문에 수록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관련된 212편의 논문을 연도시기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로 분석하였다. 연도시기별로는 2010년에서 2019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019년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별로는 유아교사, 유아교사와 유아, 유아교사와 원장,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가 210편, 혼합연구는 2편, 문헌연구 1편으로 나타났고, 질적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의 내용별로는 개인적 특성, 교사발달, 조직문화, 유아발달, 직무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직무만족과 관련된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긍정적인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유아에게 실제적인 영향력을 제공하는 인적환경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by considering research trends on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subjects were analyzed by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content of 212 pape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cluding domestic thesis for 10 years from 2010 to 2019. By year period, it continued to increase from 2010 to 2019, especially in 2019, and it continued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irectors, and so on. By research method, there were 210 quantitative researchers, 2 mixed studies, and 1 literature study,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not conduc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studies, personal characteristics, teacher development, organizational culture, child development, and job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s, we inte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search related to job satisfaction,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미 프로젝트 활동에 나타난 혼합연령 유아들의 지식형성 과정에 관한 의미 연구
- 신체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영아의 반응 탐구
- '나다움어린이책'에 수록된 양성평등 그림책 연구
-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 실습지도교사, 실습지도교수의 기대도와 만족도 연구
- 전래동화를 활용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 경험에 기반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및 교육적 의미
- 고경력 영아교사가 느끼는 보람과 어려움
- 만 4세 유아의 내·외적 학습동기가 글 없는 그림책 읽기행동에 미치는 영향: 협동과 경쟁 맥락의 조절효과
- 유아 성실 측정도구 개발
- 영아 은비의 일상적 음악경험 의미 탐색
-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요리활동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에밀리 그래빗(Emily Gravett)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징: 메탈렙시스 중심으로
- 또래와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