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상생활 경험에 기반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및 교육적 의미
이용수 6
- 영문명
- The Influenc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es Based on the Daily Life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래 김정숙 이은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347~37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상생활 경험에 기반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의 수렴적 설계를 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A시에 위치한 B대학에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수강한 유아교육과 학생 52명이다. 양적 자료수집을 위해 유아수학교육의 목적, 교사역할, 교수자료에 대한 인식을 묻는 여은진(2004)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수학교육의 내용지식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는 김경본(2006)의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질적자료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저널과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상생활 경험에 기반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육의 목적, 교수자료, 수학내용지식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 또한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유아와 교사에 대한 새로운 관계 정립, 수학 교수효능감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수학교육 강의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effect of a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lass based on the everyday experience of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to explore its meaning.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2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ho took classes in B University located in A city. To find out the effect on the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s, Yeo Eun-jin (2004) survey, which asked about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Kim Kyung-bon (2006) survey, which asked about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 knowledge of child mathematics, were reconstructed and used. The study found that the early child mathematics education classes based on everyday experie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pose, teaching materials, and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 role of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importance awareness of the mathematics contents of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Qualitative data collec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is class were journals of pre-child teachers and semi-structured survey transcripts. The results of this class show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perception of math education, establishment of new relationships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and improved teaching effectiveness in math.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ing methods that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ath education lectures for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미 프로젝트 활동에 나타난 혼합연령 유아들의 지식형성 과정에 관한 의미 연구
- 신체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영아의 반응 탐구
- '나다움어린이책'에 수록된 양성평등 그림책 연구
-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 실습지도교사, 실습지도교수의 기대도와 만족도 연구
- 전래동화를 활용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 경험에 기반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및 교육적 의미
- 고경력 영아교사가 느끼는 보람과 어려움
- 만 4세 유아의 내·외적 학습동기가 글 없는 그림책 읽기행동에 미치는 영향: 협동과 경쟁 맥락의 조절효과
- 유아 성실 측정도구 개발
- 영아 은비의 일상적 음악경험 의미 탐색
-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요리활동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에밀리 그래빗(Emily Gravett)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징: 메탈렙시스 중심으로
- 또래와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