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영아의 반응 탐구

이용수  21

영문명
An Inquiry into Teachers' On-line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 and Infants' Responses: Focused on Wordless Picture Book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박은주 박선희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1~3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글 없는 그림책 읽기를 통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영아의 반응을 질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글 없는 그림책 8권을 선정하고, 선행연구들로부터 추출해낸 교수전략을 토대로 S시, A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명의 학습공동체 경험과 교사 각자 5명씩, 총 15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글 없는 그림책을 읽어주며 나타난 반응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글 없는 그림책 읽기는 낯선 매체에 대한 걱정과 기대감으로 시작하였으나 교사는 학습공동체 경험을 통해 이전의 그림책 읽기 방법에 대해 자기반성을 하며 글 없는 그림책에 친숙해졌다. 즉, 공유가 주는 자기반성을 통해 교사들은 단순한 전달자가 아닌 상호작용자로, 질문이 아닌 귀기울임의 접근으로 변화해 갔고, 틀린 반응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며 마침내 글 없는 그림책이 주는 자유로움과 즐거움을 찾아내며 친숙해지게 되었다. 교사의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영아의 반응으로는 첫째, 그림을 단어로 명명하기, 그림의 자기중심적 명명하기, 그림에 동화되어 신체적 표상하기, 교사의 경청과 확장으로 ‘함께’ 이야기 만들어 가기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새로운 매체 활용에 대한 문제 인식으로 어려움을 겪는 교사들에게 학습공동체가 교육실천에서 나아갈 방향의 참조점을 찾게 해주는 중요한 지지가 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ropriat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for infants through collaborativ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infants’ responses to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3 times a week for 8 weeks (24 sessions in total) from March 25 to May 16, 2019 at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G district in S c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ree infant teachers and 15 infants under their ca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udio recordings, transcripts, observation records, and reflective journals. Data analysis was based on seventy-four A4-size pages of transcripts, 4,800 minutes of audio recordings, online discussion materials, resear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field observation records. Transcripts for each session were reviewed on the day so that the meaning of their content was clearly underst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teachers’ experiences with the collaborative learning community for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with infants, the teachers had the preconception that wordless picture books were an unfamiliar medium and had mixed feelings of concern and anticipation. However,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able to grow as interactive communicators instead of being a conveyer or transmitter through the collaborative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 They were finally able to discover the pleasure of freedom offered by wordless picture books from collaborating with other teachers. Second, as for the infants’ responses to the teachers’ guidance with wordless picture books, they became more fluent in naming things as the teachers paid attention to their verbal responses. They also showed responses such as self-centered naming or representation through body movements when assimilated to the content of the book. In addition, the infants and the teachers were able to create new stories based on the teachers’ attentive listening and expan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s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s’ expertise i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wordless picture books appropriate for infants, and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on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주,박선희. (2020).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영아의 반응 탐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 (2), 1-34

MLA

박은주,박선희.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영아의 반응 탐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2(2020): 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