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이용수 7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채승희 김정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233~2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와 사회적 지의 하위요인들이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351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다소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와 회복탄력성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일수록 직무만족도와 회복탄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들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들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에 관한 지각과 어려움이나 도움에 대해 알아보고,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위한 긍정적인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직무만족도와 회복탄력성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보육의 질 향상을 돕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of 30 early childhood teachers, 35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fter collecting data from 400 early childhood teach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be somewhat positive, and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were relatively high. Second, the more positive the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were. Third, the effect of the subdomains of social suppor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was in the order of emotion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information support. 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the subdomains of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resilience was in order of emotion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views on difficulties or help, and finding a positive way for social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by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re important, for ultimately improving childcare. I would like to present this basic data to help improve the 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미 프로젝트 활동에 나타난 혼합연령 유아들의 지식형성 과정에 관한 의미 연구
- 신체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글 없는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경험과 영아의 반응 탐구
- '나다움어린이책'에 수록된 양성평등 그림책 연구
-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 실습지도교사, 실습지도교수의 기대도와 만족도 연구
- 전래동화를 활용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 경험에 기반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및 교육적 의미
- 고경력 영아교사가 느끼는 보람과 어려움
- 만 4세 유아의 내·외적 학습동기가 글 없는 그림책 읽기행동에 미치는 영향: 협동과 경쟁 맥락의 조절효과
- 유아 성실 측정도구 개발
- 영아 은비의 일상적 음악경험 의미 탐색
-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요리활동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에밀리 그래빗(Emily Gravett)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징: 메탈렙시스 중심으로
- 또래와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