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에서의 유아리더십 효과 분석

이용수  6

영문명
Young Children's Leadership Patterns Observed in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Yoo, Gu-Jong Kim, So-Ri Kim, Eun-Ah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1호, 497~53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리더십 증진 방안의 일환으로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이 3-5세유아의 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만 3,4세 유아 15명에게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 만 3, 4세 유아 15명에게는 3-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유선택활동을 적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경현(2007)의 AF분석법과 리더십 구성요소를 사용하였으며, 총 16주간 실험처치와 더불어 3회기에 걸쳐 반복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 집단과3-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유선택활동 집단 간 처치회기에 따른 유아 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 집단과 3-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유선택활동 집단 간 처치회기에 따른 유아 리더십의 하위요인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하위요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영문 초록

As an effort to promote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will enhance young children’s leadership’ by comparing them with play-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three or four-year-old children for whom cooperative learning model based on a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were applied, and 15 three or four-year-old children attending to whom free choice activities were applied. The children’s leadership was measured with Gyeong-Hyeon Kim’s AF analysis and leadership components. In order to analyze young children’s leadership behaviors based on the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and play 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activitie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done for 16 weeks’ experimental treatmen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each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leadership during the treatment sessio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est experience activity group and the free choice activity group. That is, young children’s leadership level was higher in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est experience activity group than in the free choice activity group.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lso in the sub-factors of leadership during the treatment sessions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est experience activity group and the free choice activity group. In conclusion, it was proved shown in this study that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is finding is that young children’s leadership may be enhanced through forest experience based on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Ⅲ. 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Yoo, Gu-Jong Kim, So-Ri Kim, Eun-Ah . (2016).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에서의 유아리더십 효과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 (1), 497-531

MLA

Yoo, Gu-Jong Kim, So-Ri Kim, Eun-Ah .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에서의 유아리더십 효과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1(2016): 497-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