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38
- 영문명
-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in Artic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1호, 213~23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종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교사학습공동체의 연구방향, 나아가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제와 실천의 개선에 필요한 방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수록된 논문과 석·박사학위논문으로 총 46편의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논문들이다. 논문들은 연도별 연구동향, 연구 방법적 연구동향(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연구주제별 동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2010년 이후 논문수가 증가하면서 현재까지 유아교사학습공동체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 방법적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유형으로는 질적연구가 많았다. 자료의 수집은 질적자료 수집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주제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현직교사교육관련 주제를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의 논의 및 시사점에 대한 동향분석결과, 자발적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원장의 리더쉽 강화와 행정적 지원 및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omestic research trends in artic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in an effort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fforts on professional teacher learning community.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provides some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professional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Forty-six articles o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ere selected academic journals that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or were nominated for registration with it. The articl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research trends year, research methods(subject, type of research,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and research topics. The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research trends by year, the number of the articles started to increase in 2010, and steady research efforts have since been direct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date. Second, concerning trends in research methods, early childhood teacher in many. In regard to the type of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was dominant. In terms of data gathering, multiple measurement method made use of two or more methods to collect data. As data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re prevalent. Third, in relation to trends research topics, case studies teach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laces were most comm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야기
- 레오 리오니 그림책에 나타난 타자윤리와 배려적사고의 실천 : 레비나스 관점을 중심으로
- 예술활동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동향
-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 척도 타당화
- 아동의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가 교직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인권감수성의 조절효과
-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에서의 유아리더십 효과 분석
-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족구성원 세대별 분류체계 국내 적용가능성 연구
- 국내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기하 및 측정과 연계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수학 개념에 미치는 영향
- 뇌기반 유아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효과 :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자아탄력성, 창의적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 R-러닝 교수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교사 연수모형 개발
- 그림책을 활용한 건강생활활동이 영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 1990년대 이전 한국 그림책의 시대 사회적 조건 고찰: 일러스트레이터 김광배를 중심으로
-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위법 그림책에 대한 만 4, 5세 유아의 문학적 반응
-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건강교육활동이 유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할머니 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노인에 대한인식에 미치는 영향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성교육 그림책 분석
-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