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을 활용한 건강생활활동이 영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0
- 영문명
- Effects of Picture-book Based Health Life Activities on Cognition of Children’s Health and Health Promo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1호, 25~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건강생활활동을 통해 영아들이 자신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스스로 인식하여 긍정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고,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책임질 수 있는 올바른 생활 태도를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영아반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연구를 하였으며, 그림책을 활용하여 20회의 건강생활활동을 실험집단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건강생활활동이 영아 건강인식 전체와 건상인식 하위요인인 영양, 수면, 배변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림책을 활용한 건강생활활동은 영아의 건강증진의 전체와 건상증진 하위요인인 영양, 수면, 배변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그림책을 활용한 건강생활동이 영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health cognition and promotion by using programs based on picture-books for health areas that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children's health. The research included 40 preschool children at preschools. Twenty children at 'H' preschools at S-gu Busan were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another 20 children at 'G' preschool were the comparison group. Both groups were under the same environment for their daily liv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health life activity program, while comparison group listened to a teacher reading a-picture book.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using picture books for healthy living activ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meaningful improvement in all aspect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on overall health recognition – including sub factors such as cleanliness, nutrition, sleep, bowel movement and diseases. There were no signs of improvement for cleanliness and bowel movement. Second,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did the picture book based health life activities improved their health significantly more so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The picture book based health life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n affirmative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in children.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야기
- 레오 리오니 그림책에 나타난 타자윤리와 배려적사고의 실천 : 레비나스 관점을 중심으로
- 예술활동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동향
-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 척도 타당화
- 아동의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가 교직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인권감수성의 조절효과
-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에서의 유아리더십 효과 분석
-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족구성원 세대별 분류체계 국내 적용가능성 연구
- 국내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기하 및 측정과 연계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수학 개념에 미치는 영향
- 뇌기반 유아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효과 :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자아탄력성, 창의적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 R-러닝 교수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교사 연수모형 개발
- 그림책을 활용한 건강생활활동이 영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 1990년대 이전 한국 그림책의 시대 사회적 조건 고찰: 일러스트레이터 김광배를 중심으로
-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위법 그림책에 대한 만 4, 5세 유아의 문학적 반응
-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건강교육활동이 유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할머니 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노인에 대한인식에 미치는 영향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성교육 그림책 분석
-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