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야기
이용수 5
- 영문명
- A Story abou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Good Teach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1호, 189~21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과 그들이 깨달은 좋은 수업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아동복지학과 학생 9명이고,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울러 참여자들의 사고를 확장하기 위해 수업 관련 동영상 시청, 그림책 읽기, 경험회상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좋은 수업 특징은 재미와 흥미가 있는 수업,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능동적 참여가 있는 수업, 놀면서 배우는 수업,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의 수업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이 깨달은 좋은 수업 의미는 상호 신뢰 하는 수업, 존중과 수용이 공존하는 수업, 기다려주는 수업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관련 동영상 시청, 그림책 읽기 및 경험회상을 활용한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 활동은 예비유아교사로 하여금 좋은 수업에 대한 반성, 변형, 재구성을 할 수있게 하는 교사교육의 한 형태라는 것을 제언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good teaching recogniz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nine students who are senior in the child welfare department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and participants' journals. In addition, this study used video and picture books on class teaching to expand the participants’ thinking. The results presented below: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are as follows a fun and interesting class, active interactions, active participation, learning while playing, direct and specific experiences. Second, the meaning of good teaching based on self-realization was as follows: a class with mutually trust, respect and acceptance, waiting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mall group discussion and journaling through video and picture books used during class, to document the experience can be useful in teacher education in developing student teachers' reflection and reconstruction as well as making modification for good teaching.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야기
- 레오 리오니 그림책에 나타난 타자윤리와 배려적사고의 실천 : 레비나스 관점을 중심으로
- 예술활동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동향
-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 척도 타당화
- 아동의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가 교직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인권감수성의 조절효과
-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에서의 유아리더십 효과 분석
-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족구성원 세대별 분류체계 국내 적용가능성 연구
- 국내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기하 및 측정과 연계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수학 개념에 미치는 영향
- 뇌기반 유아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효과 :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자아탄력성, 창의적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 R-러닝 교수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교사 연수모형 개발
- 그림책을 활용한 건강생활활동이 영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 1990년대 이전 한국 그림책의 시대 사회적 조건 고찰: 일러스트레이터 김광배를 중심으로
-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위법 그림책에 대한 만 4, 5세 유아의 문학적 반응
-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건강교육활동이 유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할머니 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노인에 대한인식에 미치는 영향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성교육 그림책 분석
-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