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 척도 타당화
이용수 0
- 영문명
- A Validation Study of the Barth-Shermis Social Studies Preference Scal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1호, 373~38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Barr 등(1978)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 척도(Social Studies Preference Scale:SSSPS)를 국내 예비유아교사에게 사용가능하도록 검토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먼저 내용타당도 분석을 위해 11명의 유아교육 전문가들이 번역 및 유아교육 분야 적용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각 문항을 재분류하여 원척도와의 일치도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구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225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문항분석, 집단 간 차이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내용타당도 검증결과, SSSPS의 유아교육 적용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목표, 내용, 방법별 분류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5개 문항으로 축약된 척도에 대한 구인타당도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높게 나타나 원척도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민성 전달, 사회과학, 반성적 탐구의 요인구조가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 계수 또한 높게 나타나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 척도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하기에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validate The Barth-Shermis Social Studies Preference Scale(SSSP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xplore content validity, 11 early childhood experts were asked to comment about a translation and application appropriateness of the scale, and choose each item to calculate the conformity degree. In order to explore conduct validity, 22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ked to fill out the shortened SSSPS which consisted of 15 item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8.0 and AMOS 7.0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consequence of content validity, SSSPS can be adapted to early childhood field; however, it is not easy to discriminate the goals, methods, and contents among the items. Second, the review of construct validity shows that the hypothesis for three factors as Citizenship Transmission, Social Science, and Reflective Inquiry is appropriate with high fitness indexes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Finally, construct reliability, AVE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hig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야기
- 레오 리오니 그림책에 나타난 타자윤리와 배려적사고의 실천 : 레비나스 관점을 중심으로
- 예술활동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동향
-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 척도 타당화
- 아동의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가 교직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인권감수성의 조절효과
-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에서의 유아리더십 효과 분석
-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족구성원 세대별 분류체계 국내 적용가능성 연구
- 국내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기하 및 측정과 연계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수학 개념에 미치는 영향
- 뇌기반 유아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효과 :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자아탄력성, 창의적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 R-러닝 교수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교사 연수모형 개발
- 그림책을 활용한 건강생활활동이 영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 1990년대 이전 한국 그림책의 시대 사회적 조건 고찰: 일러스트레이터 김광배를 중심으로
-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위법 그림책에 대한 만 4, 5세 유아의 문학적 반응
-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건강교육활동이 유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할머니 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노인에 대한인식에 미치는 영향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성교육 그림책 분석
-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