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

영문명
The Effect of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the Peer Competence, and Recognition of Emotions in Other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1호, 327~35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원아 37명이었으며,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을 19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t-test와 paired t-test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과 타인정서인식 능력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깥놀이 활동에 실천 중심의 배려교육 교수방법을 적용한 배려교육 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서 의미 있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idea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Peer Competence, and Recognition of emotions in oth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7 children under 4, from child care facility M and H. Among them, 19 from facility M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from facility H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experienced the simple outdoor playing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done for 10 weeks, followed by analysis.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done 19 times from July 2 to September 3, 2014.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ssigned the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was much more enhanced than that of the group allocated to the simple outdoor playing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Second, the peer competence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ssigned the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was much mor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llocated to the simple outdoor playing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Third, the recognition of emotions in others by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ssigned the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was much mor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llocated to the simple outdoor playing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caring education through outdoor playing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peer competence, and recognition of emotions in others. Thus, those activities involving caring education could be applied to improve the young children's happiness, peer competence, and recognition of emotions in others while conducting outdoor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16).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 (1), 327-350

MLA

.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1(2016): 327-3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